환경 기술 산업 차세대 사업으로 육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김명자 환경부 장관이 전임 장관들과 달리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는 환경산업 기술 분야다.

金장관 자신도 "과학기술을 전공했기 때문에 장관 자리에 오면서부터 관심이 많았던 분야가 환경산업 기술이었다" 며 "환경산업기술 진흥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고 말한다.

올해 초 환경부는 환경과 경제를 함께 살리고 환경(ET)산업을 정보기술(IT).생명(BT)산업과 함께 21세기 국가전략 산업으로 발전시킨다는 목표 아래 '에코(ECO)-2 프로젝트' 를 시작했다.

이를 위해 환경부 주관으로 8개 정부 부처가 합동으로 '환경산업 발전전략' 을 마련해 지난 1월부터 추진하고 있다.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투자도 상대적으로 줄어든 '환경위기' 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여기에 배어 있다.

에코-2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6개월 만에 적지않은 일이 추진됐다.

환경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펀드 1백30억원을 조성한 데 이어 환경 벤처기업 창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창업보육센터 설립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이와 함께 환경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이달 중순 서울에서 한.중.일 환경산업 라운드테이블과 국제환경기술전.환경상품전을 개최했다.

또 다음달 초에는 중국 베이징(北京)에 '한국환경산업기술 상설전시관' 을 열 예정이고 올 하반기에는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환경산업 수출협력단' 을 구성해 동남아의 수출 유망국가에 파견할 계획도 갖고 있다.

金장관은 "첨단 환경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5백억원을 투자하는 것을 시작으로 향후 10년간 총 1조원을 투자하는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 개발사업' 도 추진하고 있다" 고 밝혔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