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고지도 66% '동해=한국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 몬타누스 지도

18세기 유럽에서 만들어진 바다 명칭 표기 지도의 66% 이상이 한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를 '한국해'로 표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프랑스 리옹3대학의 이진명 교수는 4일 프랑스 파리 국제학생기숙사촌에서 동해연구회(회장 김진현) 주최로 열린 제10차 바다 명칭에 관한 국제학술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18세기 프랑스 학자 기욤 들릴.자크 벨랭 등이 한국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들의 영향으로 영국.독일 등에서 제작된 지도 250점의 3분의 2 이상이 한국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또 당시에는 네덜란드인 몬타누스와 프랑스인 타베르니에 등의 저서가 큰 영향을 발휘했는데 모두 일본에 관한 저서들인 이들 책에 실린 지도에도 한국해가 사용됐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국제수로기구(IHO)가 1929년 '해양과 바다의 경계' 초판에서 일본해를 공식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한국이 식민지였던 데다 해양 대국이었던 일본이 IHO 창립 멤버였기 때문에 가능했다"면서 "일본은 현재까지 열도 주변의 해도와 수로지 작성을 담당해 오고 있고 서양 여러 나라의 수로부가 이 자료를 받아 사용하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파리=박경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