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연대파업 전략 정부 시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주노총의 이번 연대파업은 당초 파급 효과가 약할 것으로 관측됐다. 그러나 양대 항공사 노조의 동참을 이끌어내면서 그 효과는 극대화됐다. 국민의 불편이 관심을 몰고왔기 때문이다.

노동부 관계자는 12일 민주노총의 전략을 이렇게 설명했다.

"파업 때마다 효과를 높이고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 국민생활과 밀접한 사업장을 전면에 내세운다. "

지난해 5월 총파업 때도 대형 병원들을 앞세웠다는 것이다.

민주노총은 이같은 지적에 펄쩍 뛴다. "우리를 비도덕적인 집단으로 몰기 위한 모략" 이라는 게 민주노총 관계자의 강변이다.

그는 "대한항공의 경우도 새벽까지 교섭을 계속하는 등 협상타결에 최선을 다했다" 고 반박했다.

민주노총은 원만한 협상타결을 지원했을 뿐 파업을 부추긴 일은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노동부는 이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노동부 관계자는 "민주노총이 이번 연대파업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국민생활에 큰 불편을 끼치는 항공업계의 파업을 부추겼다" 고 분석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파업 전략이 단기적 효과는 크나 노동운동에 대한 국민의 거부감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한다.

사실 이번 연대파업에 대해 처음에는 노동부도 대수롭게 여기지 않는 분위기였다. 지하철노조 등 대규모 노조가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가 허를 찔렸다. 민주노총 산하 공공연맹이 대한항공 조종사노조의 교섭권을 행사했다. 아시아나 노조마저 파업에 돌입했고 이로 인해 보건의료 노조의 파업도 힘을 받게 됐다.

강갑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