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필 이때" 가뭄에 덮치는 총파업 자제 여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극심한 가뭄이 계속되는 가운데 민주노총의 연대 파업이 정부의 강력 대응 방침에도 불구하고 12일 시작된다.

그러나 여야 모두 파업 자제를 요청하는 등 시민과 각계에서 대화를 통한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 파업 돌입 선언〓민주노총은 11일 기자회견에서 "산하 1백25개 사업장, 5만5천여명이 12일부터 연대파업에 돌입한다" 며 "13일부터는 서울대병원 등 보건의료노조 소속 병원들이 잇따라 파업에 가세할 것" 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파업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대한항공 조종사 노조는 사측과 막판 교섭을 벌였으나 현격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해 부분적인 항공 결항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 자제 목소리〓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11일 경기도 파주시의 노사 협력 모범업체인 'ASE 코리아' 를 방문한 자리에서 "대화와 협력으로 노사가 함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며 "정부는 공정한 조정자로서 노사 관계의 법과 원칙을 확립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민주당.한나라당.자민련 등 여야도 가뭄과 경제 파급 효과 등을 들어 연대 파업 자제를 촉구했다.

민주당 전용학(田溶鶴)대변인은 "가뭄이 극심한 상황에서 파업까지 겹치면 국민의 호응을 받지 못하며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다" 며 "파업 자제를 강력히 촉구한다" 고 말했다.

한나라당 권철현(權哲賢)대변인도 "민.관.군이 가뭄 극복에 노력하는 분위기가 파업으로 상처받는 것은 좋지 않다" 고 강조했다.

시민들은 "항공사와 병원이 파업하면 시민 불편이 극에 달할 것" 이라며 파업 자제와 성실 교섭을 촉구하고 나섰다. 회사원 정현철(鄭鉉哲.32.서울 광장동)씨는 "파업은 권리지만 지금은 부적절하다" 면서 "정부도 강경 일변도보다 노사가 머리를 맞대도록 중재에 나서야 한다" 고 지적했다.

경영자총연합회 김영배(金榮培)전무는 "가뭄 상황에서의 연대 파업은 생각할 수 없는 처사" 라며 "정부는 불법 파업을 엄정히 처벌해야 한다" 고 말했다.

◇ 정부 대응〓정부는 11일 이한동 총리 주재로 노동관계 장관 회의를 열고 담화문을 통해 "연대 파업은 대외 신인도를 하락시키고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며 "불법 행위는 엄단하겠다" 고 밝혔다. 검찰도 불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파업 주동자를 전원 사법 처리하는 등 엄정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강갑생.김창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