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 천안함 침몰] MB “모든 가능성 조사하되, 섣불리 예단해선 안 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정부는 실종 장병 구조와 사고원인 규명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 반면 이번 사고의 실체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안보 불안감이 고조돼 경제 등 다른 분야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이 대통령이 이날 철저한 진상규명을 지시하면서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하되 섣부르게 예단해선 안 된다. 예단을 근거로 혼란이 생겨서도 안 된다”고 강조한 건 이런 차원이다.

청와대는 이날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일본 총리가 천안함 침몰사고와 관련해 “한 사람이라도 더 많은 생존자가 구조되기를 기원한다”는 위로 전문을 보내왔다고 공개했다.

정운찬 총리는 청와대 회의에 앞서 이날 오전 관계장관회의를 소집한 뒤 “이번 사고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총리는 회의를 마친 뒤 헬기를 타고 백령도를 방문해 군 고무보트에 올라 사고 해역 등을 둘러봤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의 사고 수습 의지를 보여주고 국민들의 불안을 달래려는 의미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 27일 모든 공무원에게 “유선상에 대기하라”는 비상대기 지침을 내렸다. 이 같은 조치는 2004년 3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에서 의결된 뒤 6년 만이다.

강주안·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