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랑 NIE] 허블 우주망원경은 어떤 기능 있을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우주는 어떻게 생겼을까. 저 별에도 생명체가 살까…. 누구나 우주를 들여다 보고 싶은 심정은 마찬가지일 거예요.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1899~1953)도 무척 궁금했어요. 그래서 캘리포니아주의 윌슨산 천문대에서 망원경으로 안드로메다 성운을 열심히 관찰했대요.

1924년 그는 은하가 수많은 별로 이뤄져 있고,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업적 때문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990년 쏘아올린 우주망원경에 그의 이름을 붙여 '허블우주망원경'으로 부른답니다.

내년께 수명이 다할 허블망원경은 지구 상공 약 610㎞ 궤도에서 1시간37분(초속 7.8㎞)마다 지구를 한바퀴 돌며 천체를 관측합니다.

매일 컴퓨터 디스크 1만개 분량의 자료를 보내오는데 대개 은하와 성운.성단(은하보다 작은 규모의 별무리).행성 등에 관한 정보랍니다. 대기권 밖에 있어 지구의 망원경보다 50배 이상 선명하다네요. 정밀도는 300㎞ 떨어진 곳의 10원짜리 동전을 알아볼 수 있을 정도랍니다. 무게는 12.2t, 주거울 지름은 2.5m인데, 망원경 전체 크기는 버스 한대와 맞먹습니다.

①허블망원경이 지상의 망원경보다 더 선명하게 관측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기권 밖은 날씨나 오염, 빛의 산란 등 천체 관측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적기 때문입니다.

②우주를 관찰하려면 허블망원경처럼 가시광선(맨눈으로 볼 수 있는 광선) 영역만 보이는 광학망원경 외에도 적외선.자외선 망원경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우주에서 날아오는 빛은 가시광선(빨강~보라) 외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과 자외선 등 여러 종류입니다. 빨강보다 파장이 길거나(적외선) 보라보다 파장이 짧으면(자외선) 보이지 않죠. 그러나 지구처럼 생물체가 살 가능성이 큰 행성은 스스로 빛을 발하지 않고 적외선을 내뿜기 때문에 적외선 망원경이 필요한 겁니다.

③허블망원경이 고장나면 어떻게 고칠까요. 허블망원경은 반사망원경인데, 굴절망원경과 무엇이 다르죠. 전파망원경의 원리와 관찰 대상도 공부해보세요.

※8월 5일자 23면, 9월 23일자 22면 등 참조.

이태종 NIE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