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가 총액이 청산가치보다 낮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6면

증시 침체의 장기화로 주가가 자산가치에 비해 턱없이 떨어지는 기업들이 급증하고 있다.

동부제강은 주당 순자산이 3만1천6백81원인데 비해 지난 13일 현재 종가는 1천9백10원으로 주가순자산배율(PBR)이 0.06배에 그친 것을 비롯해 금호산업(0.07배).현대시멘트(0.08배) 등 16개사의 PBR가 0.1을 밑돌았다.

PBR는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PBR가 1 이하이면 주당 순자산보다 주가가 저평가됐고, 1 이상이면 고평가된 것으로 본다.

16일 증권거래소(http://www.kse.or.kr)에 따르면 관리종목과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 상장사 4백21개사 가운데 85.75%(3백61개)가 PBR 1 미만으로 주가가 청산가치(기업을 청산할 때의 보유자산 추정가치)인 주당 순자산보다 낮았다.

지난해 초엔 PBR가 1 미만인 기업이 74.35%(3백13개)였다. 1년새 48개사의 주가가 주당 순자산보다 낮아진 것이다.

증권거래소는 또 "조사대상 기업의 평균 주당 순자산이 물량확대와 실적부진으로 지난해 초 주당 2만2천9백22원에서 2만6백77원(지난 13일 기준)으로 9.79% 줄었고, 평균 PBR도 0.96배에서 0.73배로 감소했다" 고 밝혔다.

주당 순자산(순자산÷주식수)은 주식의 실제가치를 나타내며, 주당 순자산이 클수록 기업내용이 충실하다고 평가된다.

특히 주가가 저평가된 기업 중 삼미특수강.동부건설.중앙건설.동부정밀화학.남선알미늄.벽산건설 등 6개사는 지난해 당기순익으로 해당회사 전체 상장주식을 살 수 있을 만큼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 예컨대 삼미특수강은 지난해 당기순익이 1천8백91억원이었는데 반해 주식 시가총액은 2백70억원에 불과했다.

한편 태광산업은 지난 13일 종가가 18만6천원인데 비해 주당 순자산은 무려 1백30만2천3백64원에 달해 상장사 중 주당 순자산이 가장 많았고, 남양유업(33만9백87원).롯데제과(31만3천3백22원) 등이 뒤를 이었다.

증권거래소 관계자는 "이같은 주가 저평가 상황으로 인해 기업들이 인수.합병(M&A) 공격에 취약해졌다" 며 "기업들도 회계투명성을 높이는 등 신뢰회복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고 말했다.

하재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