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지역 대학들 "고민되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의 위헌 결정으로 수도 이전 효과에 큰 기대를 걸었던 충청지역 대학들마다 장기발전 계획의 수정 또는 유보가 불가피해졌다.

지난 4일 통합 양해각서를 체결한 충남.충북대는 신행정수도에 제3캠퍼스와 대학본부를 두고 국내 간판 대학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통합 명분이 상당히 약화돼 안그래도 부정적이었던 일부 구성원들의 통합반대 움직임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양 대학은 내년도 법학전문대학원 유치를 위해 법과대부터 합치는 등 변함없는 양교통합 추진 의사를 밝히고 있다.

고려대는 서창캠퍼스를 '행정수도캠퍼스'로 변경하려던 계획을 중단했다. 또 부지확장을 위해 인근 신봉초등학교 8000평을 매입하려던 계획과 청원군 오송단지 진출 계획도 유보키로 했다.

교원대(청원)는 인근에 한국교육개발원 등 각종 교육 관련 기관을 입주시키는 '교육단지' 조성을 추진했으나 일단 예산 및 명분 획득이 불투명해졌다. 그러나 교원대 관계자는 "아직 교육기관 이전 계획은 그대로인 만큼 어느정도 차질이 생길지 두고 봐야겠다"고 말했다.

한남대(대전)는 '신행정수도의 중심'이란 내용의 공과 대학 옥탑광고를 바꾸기로 하고 29일까지 학생.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한다. 또 교명을 '새서울 대학'으로 바꾸려던 주성대학이나 2005~2014년 장기발전계획을 수립중인 홍익대 조치원캠퍼스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이밖에도 행정수도 이전을 신입생 유치 전략에 활용하려던 다른 대학들도 크게 실망하고 있다.

안남영.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