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수급체계 수술…고유가 '비상구'찾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와 여당이 초대형 에너지 기업 육성 등 새 에너지 정책을 검토하는 것은 국제유가가 고공행진을 지속하면서 국내 경제에 중장기적인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체제를 갖출 필요성이 커졌다는 얘기다.

현재 유력한 메이저 에너지 기업 육성 방안은 한국석유공사를 키워 해외 유전 개발과 매입에 매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문제는 돈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엑손모빌 등 외국 메이저들은 자산 규모 등에서 석유공사의 100배"라며 "국력을 한 군데만 쏟아부을 수 없으니 메이저 에너지 기업 육성이 하루아침에 될 일은 아니다"고 말했다.

여당 의원들이 선호하는 지주회사형 통합방식은 총괄적인 에너지 확보 전략을 세우는 지주회사를 만들고 그 아래 석유공사와 가스공사.광진공을 자회사로 두는 형태다. 각 공사의 업무도 다소 개편해 해외개발 부문은 개발.탐사부문에 강한 석유공사가 맡고 개발된 자원의 국내판매는 가스공사가 중심이 되는 식이다. 비축사업은 석유공사와 가스공사가 함께 맡고, 해외광물 개발은 광진공이 전담한다는 구상도 있다. 산자부가 검토하는 자원개발 부문의 지주회사 통합방식은 해외 개발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러나 어떤 형태든 통합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진통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외환위기 이후 추진된 에너지 관련 공기업의 재편 작업도 노조의 반발 등으로 중단됐다. 정유사 등 민간기업들도 정부의 공기업 재편안에 거부감이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