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옥작 '화수목 나루' 딸 김승미씨가 무대올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7면

김정옥 문예진흥원장은 요즘 대학로 진흥원 사무실에서 문예회관 대극장을 바라보는 습관이 생겼다.

그의 시선은 대극장 벽에 내걸린 '화수목(火水木) 나루' 라고 쓰인 대형 현수막에 고정돼 있다. 김원장이 이 작품(원제 '화수목 나루에 노을지다' )에 각별한 관심을 갖는 이유는 딸 승미(35)씨가 연출을 맡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직접 연출까지 하려고 욕심을 내 쓴 작품이지만 공직생활과 작품활동을 병행하기란 쉽지 않았다.

김원장은 고민 끝에 딸에게 바통을 넘겼다. 현재 중앙대 예술대학원 객원교수인 승미씨가 누구보다 자신의 작품을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 것이다.

"어려서부터 공연장.미술관.박물관으로 함께 다니지 않은 곳이 없습니다. 특히 1970년대부터 자유극단의 작품을 모두 본 딸이 누구보다 극단 성격에 맞는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 거라 판단했습니다. "

김원장 부녀가 함께 작업하는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김원장이 97년 세계연극제 출품작인 '리어왕' 을 연출했을 당시 딸 승미씨가 조연출을 맡은 것. 꼼꼼하면서도 에너지 넘치는 딸의 연출 스타일이 마음에 들었다.

70년대 이후 '무엇이 될고 하니(78년)' 등 전통소재를 현대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해온 김원장은 승미씨가 파리 제7대학에서 문화개발학 공부를 할때만 해도 연극보다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미술 쪽 일을 하길 원했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연극사회학자인 담당교수의 권유로 연극 공부를 하게 됐고, 아버지의 영향 때문인지 '전통소재의 현대화작업' 이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까지 받았다.

"배우들이 연습하다 갑자기 웃을 때가 있어요. 아버지 연출 스타일과 너무 똑같다구요. " 배우들의 의견을 듣고 이를 충분히 작품에 반영하는 아버지 스타일을 그대로 물려받은 게 승미씨의 얘기다. 아버지 김원장은 종종 배우들에게 '독립자존(獨立自尊)' 이라는 말을 한다. 배우와 연출가는 종속관계가 아닌 대등관계에 있어야 좋은 작품이 나온다는 것이다.

"연출이란 배우들의 자연스런 연기속에서 조화와 드라마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한 사람이 조정해서 되는 게 절대 아니지요. " 연출가로 첫발을 내디딘 딸에 대한 아버지의 당부이기도 하다. 과거와 현재.미래의 공간을 넘나드는 '화수목 나루' 는 역사의 노을과 새벽을 배경으로 인간의 이야기를 굿의 형태로 엮은 작품.

박웅.박정자 등 중견배우와 자유극단의 30대 젊은 배우들이 함께 출연한다. 원일 국립무용단 예술감독을 영입해 아라리난장을 재즈와 랩으로 연주하는 등 현대적 감각의 굿판을 무대에서 펼칠 예정이다. 3월 15~25일 문예회관 대극장.

박소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