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이론으로 서태지 분석 '신화의 부활…' 출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뮤지션, 특히 길들여지지 않는 자유로움을 생명으로 하는 젊은(언더그라운드 혹은 인디)록밴드들을 인터뷰 하면서 어김없이 듣는 말이 있다.

"들어보면 안다" 라는 말. "당신들의 음악이 어떤 건지 독자들에게 좀 설명해 달라" 고 물으면 열팀이면 열팀 모두 그렇게 답을 하는 것이다.

반면 TV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섹스 어필 강조형이나 댄스그룹들은 또 다른 형태로, 그러나 별로 설득력 없는 설명을 하곤 한다.

같은 맥락에서, 총체로서의 노래 자체가 아니라 그 가운데 가사만을 떼어내 분석하는 일부 평론가의 비평 역시 비평 자체는 재미있을지 모르나 음악 혹은 뮤지션 비평으로는 결정적인 한계를 갖는다.

영국에서 예술평론을 공부한, 그리고 그 자신 서태지(사진)의 팬임이 분명해 보이는 저자의 책은 그런 면에서 제한적으로 이해돼 마땅하다.

어떤 뮤지션을 분석하면서 "음악의 기술적 분야에 대해 아는 바가 많지 않기 때문에" 노랫말을 주요한 텍스트로 삼는 것은 위험한 일일 수 있으며 "서태지를 논할 때 '음악적' 잣대가 절대적 우위를 가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 (이상 12쪽)이라는 주장 역시 일방적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수많은 이론가와 이론들이 등장해 쉽게 읽히지 않지만 결론은 간단하다.

서태지가 '주류 문화에 대한 공격성' 을 가지고 소수 집단을 대표해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항, 오히려 주류 문화에 당당히 편입했으며, 그같은 대표성은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것이다.

영국의 사회학자 딕 헤브리지의 하위문화(subculture)이론을 주된 분석 틀로 삼아 서태지의 문화적 의미를 설명한 저자의 노력과 성과는, 지적 가벼움을 피하지 못하는 일부 음악비평가들의 서태지 분석에서 분명 진일보한 것임에 틀림없다.

다만 2백50쪽에 달하는 긴 분석 끝에 내린 결론의 표현이 좀 어려워졌을 뿐 그동안 많은 저널리스트와 비평가들이 내린 그것과 별 다를 바가 없다는 점에서, 또 주된 분석 시기를 92~96년으로 한정했지만 현재 정말 필요한 서태지 분석은 많은 논란을 빚은 지난해 컴백 이후 서태지의 행로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최재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