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유독물 내뿜는 모기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지난해 육.해.공 전군에 납품된 살충제에 기준치를 훨씬 넘는 맹독성 유해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국방부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일선 부대 내무반에 파리.모기용 에어졸 살충제를 뿌린 뒤 두통과 구토 증세가 나타나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유독성 물질인 디클로르보스(일명 DDVP)가 기준치인 0.3%(5백㎖ 중 1.5g)를 27%나 초과 함유한 것으로 분석됐다.

DDVP가 0.1% 이상 들어가면 환경부가 유독물.관찰대상 물질(고도 독성)로 분류한다. 피부에 닿기만 해도 유해하며 발암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식의약청은 살충 효과를 감안해 살충제에는 0.3%까지 DDVP의 함유를 허용하고 있다.

1999년 3월 군납업체로 선정된 K제약은 43만8천1백54개(3억6천3백만원 상당)를 독점 납품했으며, 같은 성분의 제품(크린 킬라-에스)을 가정용으로도 시중에 대량 판매했다.

K제약 관계자는 이에 대해 "99년 7월에 생산된 제품이 공정상의 실수로 기준치를 초과한 적이 있어 당시 납품된 물량 9천여개를 전량 교체해 줬다" 며 "다른 시기에 생산한 제품은 문제가 없다" 고 말했다.

그는 "일반용으로는 약 10만개가 출고됐으나 다른 공정을 거쳤기 때문에 문제가 없을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당시 이 제품에 대한 납품검사를 실시한 충북보건환경연구원은 '합격' 판정을 내렸던 것으로 밝혀져 현 군납 의약품 검사체계에 허점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식의약청은 이 제품의 허가를 취소할 방침이며, 국방부는 국가계약법에 따라 이 회사가 앞으로 1년간 군납과 관련한 입찰을 못하도록 할 계획이다.

약국에서만 판매하던 디클로르보스 살충제는 약사법 개정으로 오는 7월부터 대형 할인점 등에서도 팔린다.

고신대 생명과학과 이동규 교수는 "DDVP의 경우 기준치를 조금만 넘어도 구토.호흡 곤란 등의 부작용이 있는데다 계속 사용하면 간이 손상할 수 있다" 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독성 물질이 함유된 살충제를 일반 공산품으로 분류한 현행 군납체계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기획취재팀〓김현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