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누구나 한다 … IPTV가 문을 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9면

이석채 KT 회장이 23일 서울 논현동 임페리얼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쿡TV 오픈 서비스’ 설명회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터넷TV(IPTV)에도 스마트폰처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 이하 앱)과 콘텐트를 사고파는 ‘앱 스토어’가 만들어진다. 개인 개발자나 영세업체도 IPTV 방송물 대행 제작업체가 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판매수익은 개발자와 통신회사가 7대 3으로 나눈다. 시청자들은 TV로 블로그와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KT는 23일 서울 임페리얼팰리스 호텔에서 ‘쿡TV 오픈 서비스’ 설명회를 열고 이런 전략을 공개했다. 이 회사는 벤처기업협회·인터넷기업협회·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한국여성벤처협회·한국예술종합학교·한국방송채널사용사업협회 등 관련 단체와 IPTV 활성화를 위한 협약식도 했다.

◆다양한 서비스=‘쿡TV 오픈 서비스’는 ▶TV 앱스토어 ▶채널 오픈 ▶주문형비디오(VOD) 오픈 ▶개방형 폐쇄이용자그룹(CUG) ▶오픈 사용자제작동영상(UCC) 서비스 ▶SNS(쿡끼리) 서비스 ▶오픈 커머스 등의 기능을 한다.

‘TV앱스토어’는 스마트폰의 앱스토어 개념을 TV에 적용한 것이다. KT에서 제공하는 개발환경에 따라 개발자는 TV용 앱을 만들어 올리고, 사용자는 앱스토어에서 이를 사 TV 화면으로 즐긴다. 유아교육이나 미술을 전공한 대학생이 ‘TV로 보는 그림책’ 앱을 만들어 올리면 주부가 쿡TV 앱스토어에서 이를 구매해 어린 자녀와 그림책을 TV로 보며 공부한다. KT는 쿡TV 홈페이지(tv.qook.co.kr)에 앱 개발가이드 문서 등 기술 기반을 공개했다. 이 앱스토어는 하반기에 공식 출시된다. KT는 앱스토어 수익 70%를 개발자에 돌리겠다고 약속했다. 서종렬 미디어본부장은 “초등학생도 아이디어로 돈을 벌 수 있다”고 말했다.

‘채널 오픈’은 누구든 IPTV 플랫폼을 통해 사실상 방송사업자가 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기존의 까다로운 채널 심사과정을 단순화해 방송통신위원회에 등록 또는 신고를 마친 IPTV 콘텐트 사업자는 누구든 쿡TV에서 채널 운영을 할 수 있다. 단독 채널을 구성하기 어려운 콘텐트 사업자나 개인이 여럿 모여서 블록 채널을 형성해 콘텐트를 송출할 수 있다. ‘VOD 오픈’ 역시 영상 콘텐트를 VOD로 서비스할 권리만 갖추면 쿡TV로 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시청자 선택권=‘채널 오픈’과 ‘VOD 오픈’이 상용화되면 미디어 산업의 진입 장벽이 서서히 무너지고 시청자의 방송물 선택권이 크게 신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에 따른 콘텐트 품질 저하를 어떻게 막을 지가 과제다. KT는 쿡TV 오픈 서비스와 함께 휴대전화·PC·인터넷전화 등 다른 정보기술(IT) 기기에서도 IPTV 콘텐트를 활용하는 서비스를 3분기에 할 계획이다.

이석채 KT 회장은 “TV앱스토어 같은 개방 IPTV 서비스는 콘텐트 개발자와 수요자의 윈윈(상생)과 다른 업종과의 컨버전스(융화)를 도모해 산업의 동반 성장과 수요자 편익을 증진하는 촉매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원호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장은 “네트워크 확보에 이어 콘텐트 확보 경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이번 IPTV 서비스가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병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