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농촌설계 '어메니티'공모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농촌진흥청이 주최하고 중앙일보가 후원하는 '제2회 농촌 어메니티 환경설계 공모전'이 오는 22, 23일 이틀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다.

'인간.자연.전통이 조화로운 아름다운 농촌'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에는 조경.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농촌 관련 전문가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모된 100여점의 미래형 농촌설계작품이 선보인다.

농촌 마을의 하천이나 녹지공간, 야생식물.전통음식.축제 등을 활용해 농촌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공개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조순재 과장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생소했던 어메니티의 개념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현실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만큼 구체적인 설계와 기법들이 쏟아져 나왔다"며 이번 공모전의 성과를 설명했다. 농촌진흥청은 농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농촌 자연환경의 보전.개발을 통한 소득 증대가 시급하다는 인식 아래 지난해부터 이 공모전을 실시해 왔다.

농촌경제연구소는 최근 지난해 2조5000억원 규모였던 농촌 어메니티 관련 시장이 2013년에는 17조원대에 달하는 미래 농촌의 대표적인 지식 기반 사업이 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전시에 앞서 22일에는 우수 작품에 대한 시상식과 함께 서울대 지리학과 유우익 교수의 '농업.농촌의 발전과 어메니티 자원개발'에 대한 특별강연도 열린다.

임장혁 기자

◆ 어메니티(amenity)란=인간이 생태적.문화적.역사적 가치를 지닌 환경과 접하면서 느끼는 매력.쾌적함.즐거움이나 이러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장소를 말한다. 농촌의 경우 맑은 강이나 산 등 자연환경, 특산품.토속음식, 지방 고유의 축제나 문화, 야생 동식물 등이 어메니티 자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남 함평군이 전통 꽃 단지와 나비축제를 통해 관광객 유치에 성공한 것, 강원 평창군이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인 봉평면 일대에 인공 메밀밭을 조성한 것 등이 농촌 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모범사례로 꼽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