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은행 지주사 편입, 버티기로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한 한빛.평화.제주.광주은행의 금융지주회사 계획이 해당 은행들의 버티기와 로비로 진통을 겪고 있다.

평화은행은 22일 제출한 수정 경영개선계획에 독자생존을 위해 경인.전라.제주.영남권 지방은행을 묶어 한빛은행과 별도의 지주회사를 설립하는 안을 포함시켰다.

광주.경남은행도 평화은행의 이같은 안에 동조하고 있으며, 제주은행은 간접적으로 참여의사를 전달해왔다고 평화은행측은 밝혔다.

평화은행 관계자는 "평화은행은 가계대출에, 지방은행은 중소기업 대출에 장점이 있어 이를 통합할 경우 시너지 효과가 클 것" 이라며 "선진국에서도 독자적인 노동자은행이 존재하는 만큼 이같은 특성이 정책적으로 감안돼야 한다" 고 주장했다.

금융감독위원회는 그러나 평화은행과 지방은행의 이같은 움직임에 분명한 반대입장을 밝히고 나섰다.

금감위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금융지주회사를 만들고자 하는 이유는 외국 초대형 금융기관과 경쟁할 수 있는 선도은행을 탄생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며 "평화은행과 일부 지방은행을 묶은 지주회사가 그런 역할을 하기엔 역부족" 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해당 은행들이 끝까지 정부방침을 따르지 않을 경우 수정 경영개선계획을 거부한 뒤 강제로 통합작업에 나설 수밖에 없다" 며 "공적자금을 지원받으려면 초대형 선도은행을 만들려는 정부방침을 따라야 할 것" 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빛.평화.광주.제주은행은 수정 경영개선계획에서 모두 6조8백억원의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별 요청액은 ▶한빛은행 4조8천억원▶평화은행 5천8백억원(카드부문 매각시 2천6백억원)▶광주은행 5천억원▶제주은행 2천억원 등이다.

정경민.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