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무정부 결사체 소개한 '정치의 전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7면

5년전 기자가 독일의 베를린에서 겪은 일. 당시는 스킨헨드족이나 신나치족들이 외국인을 상대로 종종 테러를 하던 때라서(지금도 그렇지만)시내를 다닐 때면 동양인으로서 불안감이 없지 않았다.

유학생들한테서 들은 몇몇 정보 중에는 옛 동베를린 근처의 크로이츠베르크 지역에 관한 얘기도 있었다.

"자율적 군집 생활을 하며 독특한 문화를 일구며 사는 사람들이 있다" 는 것.

그들은 '아우토노멘(autonomen)' 이라고 불린다는 것. 이들을 스킨 헤드족 혹은 신나치주의자들과 같은 부류가 아닐까 싶어 근처까지 갔다가 은근히 두려워 되돌아온 기억이 있다.

5년전 기억은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주인공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별다른 학구적 호기심이 없다면 별로 알 필요가 없지않나 싶을 정도로 우리 사회와는 다소 적실성(適實性)이 떨어지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이다.

책의 주인공들은 '정치의 전복' 을 꿈꾸는 자들이며, 그 대상은 기존의 정치 시스템이다.

그렇다고 그 지향하는 바가 혁명의 수준까지 갈 수 있는 대중적 매력이 있는 것도 현재로서는 사실이 아니다.

아우토노멘은 독일의 대표적인 '정치의 전복자' 들. 자율.자치를 강조하는 이 독특한 정치적 결사체는 유럽 신좌파운동의 태동과 더불어 싹텄다.

국가권력의 장악에 몰두했던 20세기 여타의 운동과 달리 이들은 국가권력의 해체를 주장한다. 무정부적 속성이 다분하며, 직접민주주의와 자치의 원리에 따라 살고 있다.

이 신간은 독일.덴마크.이탈리아 등 유럽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이런 자율적 정치.사회운동을 사회사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살폈다.

프랑스의 '68학생운동' 은 이런 움직임의 시발점이었다고 분석한다.

저자는 올 광주항쟁 2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광주 코뮨 : 20년이후' 를 발표한 미국 보스턴 웬트워스대 교수. '노동자주의' 를 주장하는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네그리와 차별적 관점에서 그의 독특한 시각을 주목할 필요는 있다.

정재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