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비의 대명사’ K스트리트는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K스트리트는 백악관에서 북쪽으로 3블록 떨어진 거리 이름이다. 수많은 로비회사와 각종 협회·단체가 몰려 있어 로비의 대명사로 통한다.

미국에서 로비는 헌법이 보장하는 합법적 청원권이다. 로비스트는 정치권의 핵심 플레이어다. 이해관계가 갈리고 돈이 되는 곳엔 정·관계 출신의 로비스트가 동원된다. 이들이 행정부와 의회, 민간기업 사이를 오가며 거래를 중개한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워싱턴 정가의 로비스트를 개혁 대상으로 꼽았다. 로비산업을 “안락하고 강력한 초당적 삼각동맹”이라며 “로비스트로부터 자유로운 정부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의회뿐 아니라 백악관 곳곳에 영향력을 미치는 로비스트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어떤 개혁도 이뤄낼 수 없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경기부양책과 건강보험 개혁 추진으로 K스트리트의 일감이 더 늘어났다는 관측도 있다.

워싱턴의 로비활동이 로비스트에 의해서만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많은 로펌이 전직 고위 관리들을 특별고문이란 이름으로 활용한다. 의회에 등록되지 않은 개인과 고문 등을 포함하면 로비산업 규모는 100억 달러(약 11조원)에 달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의회에 등록된 로비스트는 1만3465명이다. 전체 535명의 상·하원 의원 1명당 25명씩이 붙어 있는 셈이다. 한때 1만5000명까지 치솟았지만 조금 줄었다. 경기 침체로 로비산업이 불황을 맞은 셈이다. 로비스트를 고용해 의회나 행정부 관계자를 공략하기보다 TV 광고나 시민단체를 통한 우회 로비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이 늘어난 탓도 없지 않다.

최상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