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국방장관회담] 경의선복원 중점 논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5일 제주도에서 열리는 사상 첫 남북 국방장관 회담에서는 문산~개성간 경의선(京義線) 복원 및 4차선 도로 개설과 관련한 실무협상이 중점 논의될 전망이다.

남측은 한반도 긴장완화를 위한 군사적 신뢰 구축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룰 생각이지만 북측은 경의선 복원 공사에 따른 최소한의 군사적 협력 문제만을 의제로 제한하자는 입장이어서 포괄적인 협의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조성태(趙成台)국방부장관을 비롯한 남측 대표단은 이번 회담이 분단 이후 최초라는 점에서 '만남' 자체에 의미를 두고 의제를 무리하게 확대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북측은 지난 13일 판문점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를 통해 남측에 보내온 김일철(金鎰喆.차수)인민무력부장 명의의 서신에서 "경의선 철도 연결과 도로 개설에 따른 군사적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회담" 이라고 명시했다.

그밖의 사안에 대해서는 더 이상 논의할 뜻이 없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은 이번에 수행기자를 단 한 명도 포함시키지 않았고 제주도 회담 중 필요한 통신로도 개설하지 않아 다소 소극적 입장인 것으로 분석된다.

북측이 지난 22일 중장(한국군 소장급) 1명.소장(준장급) 1명.대좌(대령급) 두 명으로 구성된 다소 격이 낮은 대표단 명단을 통보해 와 그런 관측을 뒷받침했다.

이에 반해 남측은 경의선 철도 복원 및 도로 개설에 따른 기술적인 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남북 군사실무위원회' 구성을 제의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작전.공사 부대간 핫라인 개설▶비무장지대(DMZ)에서 군 및 공사 인력의 식별 문제▶지뢰 제거 협력 방안 등을 토의해 나간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1992년 남북 기본합의서에 명시된 ▶군사 직통전화 개설▶대규모 부대 이동 및 군사훈련 상호 참가 문제 등도 제의할 계획이다.

그러나 국방부는 이번 회담이 양측 군 수뇌부의 첫 만남인 만큼 북측에 부담을 주지 않을 방침이며, 실천이 쉬운 문제부터 합의를 이루고 가급적 이른 시일 안에 평양 등 북측 지역에서 2차 회담을 약속하는 등 회담 정례화에 역점을 둔다는 생각이다.

김민석.이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