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 칼럼] 기름 덜 쓰기 작은 실천부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교통문화운동본부 박용훈(朴用薰)대표가 이번 ‘추석교통’에 대해 재미있는 계산을 했다.

추석 특별수송기간 6일동안 전국 고속도로를 이용한 차량은 ㅁ총 1천4백57만대,대당 평균 운행거리는 63km,이들이 소비한 연료량은 휘발유 9천5벡만 리터와 경유 4천만 리터(돈으로는 1천5백억여원),그 중 32.4%(4백96억원)가 정체(停滯)비용이라는 것 등이다.

국도·시내도로도 그에 못지 않게 막혔으니 이 비용을 당국도 한번 계산해보면 어떨까.

작년 한햇동안 석유수입액은 1백83억달러.그 중 20%를 교통부문이,또 그 중 74%를 자동차가 소비했다.

게다가 외환부족 위기 이후 줄었던 자동차부문 에너지 소비량이 요즘 큰폭으로 늘고 있다.자동차 에너지 소비량은 1997년에 2천3백50만TOE으로 피크(90년 소비량의 2배)였다가 98년에 18% 감소됐다.그러나 지금은 다시 97년 수치로 환원되는 중이다.

그런데도 정부의 ‘고(高)유가 대책’은 별 게 없다. 대형화물차가 빈차로 복잡한 도심을 거침없이 통과하고,주택가 골목길에서 ‘노점 화물차’가 밤 늦도록 엔진을 공회전한다.기업은 마음껏 큰 차를 법인용으로 사들여 연료비까지 비용으로 처리한다.

통행량이 별로 없는 대도시권 고속도로에서 통행료를 받는 바람에 차량을 신호등 연속인 시내도로로 내몬다.국도는 평균 2백∼3백미터마다 ‘연동화되지도 않은’ 신호등을 달아놓고 밤새도록 빨간불·노란불·녹색불을 번갈아 키는 원시적 운영체계다.

이 같이 에너지 낭비를 촉진(?)하는 정책들을 고쳐야 효과가 있다는 걸 당국이 모른다는 말인가.

이럴 때 운전자라도 잘해 보자.철저한 차량점검과 잘못된 운전습관만 고쳐도 연료비를 20%까지 줄인다.타이어 공기압이 20% 부족하면 연료가 5% 더 들고,급출발 10회에 100㏄,급가속 10회에 약 50㏄,불필요한 물건 10㎏을 싣고 50㎞를 가면 약 80㏄의 연료를 더 써야 한다.

겨울에 워밍업을 2분쯤 하고,속도를 자주 바꾸지 않는 정속(定速)운행,엔진브레이크를 쓰는 운전습관이 바로 에너지 절약의 지름길이다.

음성직 수석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