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산가족 자료정리 착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3일 장관급 회담에서 합의한 남북 이산가족의 서신교환에 대비하기 위해 남측 상봉신청자 11만여명(8월말 현재)에 대한 전산자료 보완.검토작업 등 후속조치에 착수했다.

또 대북 식량지원 추진을 위한 구체적 지원물량.시기협의 및 재원조달 방안 마련 등과 함께 국민 여론도 적극 수렴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관련, 박재규 통일부장관은 2일 외교통상.국방부장관과 국정원장.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등이 참석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상임위원회를 열어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결과를 비롯한 2차 장관급 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후속 대책을 협의했다.

정부 관계자는 "서신교환에 필요한 생사.주소확인을 위해서는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 등이 운영 중인 '이산가족 정보통합센터' 의 자료를 정돈, 북한에 전달하는 게 급선무" 라면서 "조만간 열릴 남북적십자 회담에서 이를 위한 구체적 문제가 논의될 것" 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군사긴장 완화▶경의선(京義線)복원▶임진강 공동 수해방지 등 합의사항은 국방부.건설교통부 등 해당 부처별로 실무준비를 벌일 예정이다.

한편 일본 정부는 지난 3월 10만t의 쌀을 북한에 지원한 데 이어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40만t의 쌀을 추가 지원키로 확정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일 보도했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