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Q 높은데 성적 하위권, 학습장애아 급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서울 K중 3년인 李모(15)군은 3년전부터 전과목 과외를 받고 있지만 성적은 하위권을 벗어난 적이 없다.

지능지수(IQ)가 또래 평균보다 높은 李군은 교우관계도 원만하고 무단결석도 없는 등 공부만 빼곤 전혀 문제가 없다.

이 때문에 李군의 부모는 "천성적으로 공부를 싫어하거나 게으르기 때문에 성적이 오르지 않는 것" 이라고 속단해 왔다.하지만 전문가의 진단 결과 李군은 책을 읽을 줄은 알지만 의미 파악이 안돼 말로 설명해 줘야 이해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학습 장애아' 로 밝혀졌다.

최근 정상적 지적능력을 가졌지만 정서불안.집중력 결핍 등으로 수리계산.문장 이해 등이 잘 안되는 학습장애 학생이 급격히 늘고 있다.

이들은 학습량이 늘어나는 고학년이 될수록 수리.탐구 등이 한계에 부닥쳐 가정이나 일선 교육현장에선 지능이 떨어지거나 게으른 학생으로 오해받아 교정 시기를 놓치기 일쑤다.

올 상반기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를 찾은 환자 1천6백69명 가운데 12%에 해당하는 2백7명이 학습장애 증상을 보였다.지난해 같은 기간의 1백27명과 비교하면 급격한 증가세다.이 병원은 학습장애아가 늘어나자 지난달 소아정신과 내에 별도의 클리닉을 개설, 운영하고 있다.삼성서울병원에는 올들어 3백49명의 학습장애아가 찾아와 지난해(2백16명)보다 60% 가량 늘었다.

미국에서도 1997년 초.중.고교 전체 학생 가운데 3%에 지나지 않던 학습장애아가 올 들어 7%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대표적인 학습장애 증상은 ▶글을 읽을 때 한 단어에 집착해 문장 전체를 소화하지 못하거나▶고학년임에도 글씨체가 난잡하고▶덧셈.뺄셈 등 연산이 느리고 부정확한 경우 등이다.전문가들은 학습장애의 주범으로 전자오락기.비디오.TV 등 영상물을 지목한다.

서울대병원 학습증진클리닉 전문의 신성웅(申成雄)씨는 "학습장애아들은 대개 저학년 때부터 파괴본능을 자극하는 게임기나 영상물을 자주 접해 감각적인 지능만 발달한 학생들" 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특히 맞벌이 가정의 경우 아이가 영상오락물로 무료함을 해소할 때가 많으므로 각별한 지도가 필요하다" 고 지적했다.

24일 서울대병원을 찾은 李모(12)군의 어머니는 "아이 특성도 모른 채 '공부 안한다' 고 꾸짖곤 했다" 며 "한두 줄 문장밖에 표현하지 못하던 아이가 몇달 동안 학습장애 치료를 받은 뒤 한 장짜리 독후감을 쓸 정도로 나아졌다" 고 전했다.

삼성서울병원 학습장애클리닉 홍성도(洪聖道)과장은 "미국의 경우 초등학교 입학 때 학습장애 여부를 검사하는 등 특별 관리하고 있다" 며 "우리도 교육부.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이 나서 전문치료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고 말했다.

정용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