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미만 보상 받는 세종시 주민 위해 아파트 500채 추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운찬 국무총리가 8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세종시민관합동위원회 제8차 회의에서 자료를 건네받고 있다. [김경빈 기자]

정부가 8일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를 열어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해 비공개 토론을 했다.

정부가 이날 위원들에게 배포했다가 회수한 60쪽 분량의 수정안에는 1억원 미만의 보상을 받은 세종시 주민들을 위해 아파트 500여 채를 추가로 공급하는 방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게 되면 기존에 공급될 예정이던 500여 채를 포함해 1023세대에 혜택이 돌아간다.

위원들은 “세종시 자족용지를 원안의 150만 평에서 450만 평으로 늘리고, 외국기업이 들어올 수 있도록 3분의 1에 해당하는 100만~150만 평을 비워놓기로 했다”고 전했다. 대학으로는 KAIST와 고려대가 포함됐으나 서울대는 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외국인 학교도 들어설 예정이다.

특히 삼성·한화·롯데와 함께 입주할 예정인 웅진의 경우 충남 공주 출신인 윤석금 회장을 정운찬 국무총리가 직접 설득해 참여하게 됐다고 한다.

송석구 민간위원장은 수정안에 따른 인구유입 효과와 관련, “세종시 내에 40만(명), 주변지역에 10만(명)이 (유입)될 것”이라고 전했다. 원안의 목표인 50만 명에 비해 10만 명 축소된 것으로, 세종시의 자족용지 비율이 기존 6.7%에서 20.7%로 확대돼 택지비율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세종시 내 주택 건설 계획도 당초 20만 호에서 16만 호가량으로 축소될 예정이다.

회의에서는 “충청민들도 만족할 것”이라는 평이 많았다고 한다. 다만 강용식 전 행정중심복합도시 자문위원장은 “합의라고 볼 수 없다”며 “아무리 포장을 잘해도 행정부가 안 가는 수정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대했다. 

글=백일현·선승혜 기자
사진=김경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