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권위, 일본 성토 일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제네바=연합] 유엔 인권소위원회는 10일 제52차 연례회의를 속개, 현대적 형태의 성노예 문제를 논의했다.

회의는 특히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위안부 문제에 발언이 집중돼 일본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

특히 업저버 자격으로 참석한 북한 정부 대표는 "40년에 걸친 일본 강점 아래에서 6백만명의 청년이 일본군및 강제노동에 동원돼 1백만명 이상이 사망했으며 20만명 이상의 여성과 소녀가 위안부란 미명 아래 일본군의 성노예로 끌려갔다" 며 처음으로 북한지역의 피해자 숫자를 구체적으로 거명해 가면서 희생자와 국가에 대한 일본의 보상책임을 강조했다.

중국의 환과이시앙 인권소위 위원도 중국인 위안부와 강제징용자 문제를 거론했다.

환위원은 또 "중국 북동부 지역의 화학전 희생자들이 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들도 배상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 고 주장하고 일본 정부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했다.

환위원은 "매우 만족스런 방식으로 나치 만행 문제가 해결되고 있는 유럽처럼 일본이 명확한 자세로 임한다면 문제 해결이 쉬울 것" 이라고 충고했다.

한국의 정진성(鄭鎭星) 인권소위 교체위원과 신혜수(申蕙秀) 정신대대책협의회 국제위원장도 각각 성노예 전반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오는 12월 도쿄(東京)에서 개최될 '성노예 전범 국제법정' 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지지를 호소했다.

북한측은 북.일 수교교섭 과정에서의 대일청구권 협상을 의식, 일본의 정부차원 배상책임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