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도 해보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중앙일보가 후원한 미디어리서치 면접 조사는 다단계 지역 추출법에 의한 20세 이상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신뢰 수준 95%로 오차한계는 ±3.1%포인트다. 조사항목은 3개 국민에 대한 공통 문항과 각 국민에 대한 고유 문항으로 나뉘었다. 다음은 한국 국민에게 고유하게 물어본 주요 설문 항목이다. 공통 문항은 10월 1일 게재한다. 일부 항목의 괄호는 응답자의 답변 비율이며 단위는 %다.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했다.

1. 주한미군 주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영구적으로 주둔해야(13) ② 상당 기간 주둔해야(38)

③ 단계적으로 축소해야(43) ④ 즉각적으로 철수해야(6)

2. 주한미군이 동북아 지역의 안정에 기여하고 한반도 이외의 지역에 대한 군사적 충돌에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또는 북한의 남침을 억제하는 역할만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한반도 주변 지역의 안정에 기여해야(60)

② 북한의 남침 억제 역할만 해야(40)

3. 한.미 동맹은 한반도 통일 이후에도 지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더욱 강화되어야(6) ② 현 수준으로는 유지되어야(54)

③ 대폭적으로 약화되어야(31) ④ 종료해야(9)

4. 보기의 국가들 가운데 한국이 가장 협력해야 할 나라는 어느 나라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미국(53) ② 일본(4) ③ 중국(24)

④ 러시아(0) ⑤ 유럽연합(EU)(10) ⑥ 없다(9)

5. 한국의 안보에 있어 보기의 나라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각 나라별로 '매우 유용''약간 유용''영향 없음''약간 위협''매우 위협'으로 체크해 주십시오.

① 중국 ② 일본 ③ 북한 ④ 한국 ⑤ 미국 ⑥ 러시아

6. 보기의 국가들이 한반도 통일에 미치는 영향력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각 나라별로 '매우 유용''약간 유용''영향 없음''약간 위협''매우 위협'으로 체크해 주십시오.

① 중국 ② 일본 ③ 북한 ④ 한국 ⑤ 미국 ⑥ 러시아

7. 귀하께서는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의 한.미 관계를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① 매우 진전됨(1) ② 조금 진전됨(14) ③ 변화 없음(54)

④ 조금 악화됨(27) ⑤ 매우 악화됨(4)

8. 귀하께서는 북한에 대해 노무현 정부가 어떤 정책을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햇볕정책 강화(29) ② 현재 수준 유지(52) ③ 햇볕정책 포기와 강경 정책 채택(19)

9. 귀하께서는 북한이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예(75) ② 아니요(25)

10.북한이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면, 귀하께서는 얼마나 위협을 느끼고 계십니까?

① 매우 심각(39) ② 약간 심각(49) ③ 위협을 느끼지 않음(12)

11. 통일에 대해 귀하께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십니까?

① 어떠한 대가를 치르더라도 통일을 이뤄야(22)

② 통일은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69)

③ 예상되는 정세 불안과 경제 문제로 인해 통일은 바람직하지 않다(9)

12. 통일은 많은 비용이 듭니다. 귀하께서는 통일 이후 북한 지역 개발에 쓰일 재원 조달을 위해 보다 많은 세금을 낼 용의가 있으십니까?

① 기꺼이 부담한다(16) ② 약간의 부담은 개의치 않는다(54)

③ 별로 부담하고 싶지 않다(30)

13. 귀하께서는 대북 경제 지원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계십니까?

① 북한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경제 지원은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24)

② 인도적 목적에만 한정되어야 한다(50)

③ 현재의 수준으로는 유지되어야 한다(22)

④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5)

14. 한반도 안보 상황을 고려하여, 현재의 국방 예산 규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너무 많다(5) ② 약간 많다(29) ③ 적당하다(52) ④ 약간 적다(12) ⑤ 너무 적다(2)

15. 다음에 불러드리는 각각의 문장을 듣고 이에 대한 귀하의 의견을 밝혀 주십시오. 동의하시면 '예'에, 동의하지 않으시면 '아니요'에 체크해 주십시오.

①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한 경제 지원을 늘려야 한다

② 외국인의 한국국적 취득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③ 모든 불법 외국인 근로자들은 추방되어야 한다

④ 국제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력한 군사력이 필요하다

⑤ 어떠한 대가를 치르더라도 국내 쌀 시장은 보호해야 한다

⑥ 우리나라도 핵무기를 보유해야 한다

⑦ 세계화 시대에 국산품애용이란 시대착오다

⑧ 국내에서 외국기업 주도의 인수.합병은 우리 경제에 해가 되지 않는다

⑨ 약소국은 강대국의 영향력 하에 있는 유엔이나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은 국제기구를 신뢰해선 안 된다

⑩ 한국은 세계화 시대에 외국문화의 수용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