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회사채 사줄 돈 10조 조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시중 자금경색에 따른 기업들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4~5개 투신.자산운용사에 총 10조원 규모의 펀드를 만들어 회사채를 사주도록 할 계획이다.

이 펀드에는 은행 등 기관투자가들이 돈을 대게 된다.

또 은행권에 만기 3개월 이상 단기 신탁상품을 한시적으로 허용, 기업어음(CP)과 회사채를 50% 이상 사주도록 할 예정이다.

이헌재(李憲宰)재정경제부장관은 16일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시중 자금경색은 불안감 때문에 시장에서 일시적으로 돈이 돌지 않는 마찰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며 "기업들의 장단기 자금조달 수단인 회사채.CP시장을 살리기 위해 자금시장 안정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고 밝혔다.

그는 "최근 쌍용그룹 등 일부 중견그룹의 자금사정이 좋지 않은 것으로 시장에 알려져 있지만 사정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다" 면서 "이달 중 종합대책을 시행하면 다음달부터는 시장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본다" 고 덧붙였다.

정부 대책의 핵심은 총 10조원 규모의 채권투자 전용펀드 조성으로 기관투자가들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세제혜택 등이 주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만기 1년 이상 상품만 허용되고 있는 은행신탁에 만기 3개월 이상 상품을 한시적으로 허용, 기업어음과 회사채를 집중적으로 사주도록 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이같은 대책은 대출을 기피하고 있는 은행돈을 채권매입을 통해 기업 자금지원에 동원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현재 기업이 보유자산을 근거로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자산담보부증권(ABS)을 신용등급 BBB- 이상 우량 상장.등록기업에만 허용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모든 상장.등록법인이 신용등급에 관계없이 발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투신.종금 등 금융기관들이 대우그룹에 우회 대출해준 연계콜자금의 지급기준을 마련, 별도로 이자를 챙겨주는 등의 이면계약이 있는 연계콜은 원금의 50%, 이면계약이 없는 경우는 70%를 예금보험공사가 대지급해주도록 했다.

김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