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교육시장 … 브랜드 가치를 키워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교육은 나라의 백년지대계다.

수많은 질곡과 난관의 역사를 뚫고 세계13위 경제대국으로 발전한 대한민국의 힘은 어디서 나올까? 많은 사람들은 교육의 동력이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고 평가한다. 빈약한 부존자원의 약점을 우수한 교육자원으로 대체해 불과 수십년 사이에 비약적인 경제 발전과 민주화를 동시에 이루어 냈다. 이로인해 최근 G20정상회담 유치·OECD 산하 DAC(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 가입을 이뤄내는 등 대한민국의 국격(國格)은 현저히 높아지고 있다.

교육은 미래에 대한 투자라는 점에서 불황기에도 지속성장을 보이는 대표적인 산업이다.

올해 교육산업은 교육정책의 변경과 교육업계의 활발한 인수합병으로 그 어느 때 보다도 격변의 한 해를 보냈다. 특목고 개편방안·자율고 설립·마이스터고 설치 등 고등학교 과정에 대한 굵직한 정책이 마련되었고 평생교육정책과 영유아 교육시장의 발전으로 인해 교육 시장은 폭발적으로 팽창되고 있다.


교육업계가 변화와 변신을 거듭하는 가운데 교육브랜드는 양적팽창과 질적도약을 통해 업그레이드중이다. 즉 온라인은 오프라인으로, 오프라인은 온라인 브랜드로 사업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또 초등 브랜드는 중고등 분야로, 중고등 브랜드는 유·초등 분야로 타킷 시장을 확장해 나가는 전략을 쓰고 있다.

교육산업이 점차 확대일로를 보임과 동시에 각 부문별 제품들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 업체들도 자사 브랜드의 가치상승을 위한 마케팅전략 수립에 부심하고 있다.

한마디로 미래 교육산업에서의 승리자로 남기위해서는 자사제품의 브랜드 가치 향상시키는 일이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교육업체 관계자들은 “성공한 교육 기업들은 대부분 브랜드의 중요성을 일찍 깨닫고 일관된 브랜드 전략을 이루기 위해 힘써 왔다”고 하면서 “실패한 교육브랜드는 대부분 단기적인 시장상황에만 초점을 맞춰 일관되지 못한 브랜드 전략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데 실패했다”고 말했다.

브랜드스톡이 조사·평가하고 중앙일보·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가 후원하는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은 성공한 교육브랜드가 무엇인지, 왜 성장했는지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각 부문별 1위 브랜드는 브랜드의 중요성을 잘 알고 전사적인 관리를 해 왔으며 이를 통해 교육 소비자들의 두터운 신뢰를 얻어 오는데 성공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번 ‘2010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에서는 ▲삼성SDS 멀티캠퍼스 ▲와이즈만영재교육 ▲푸르넷공부방 ▲진학사 원서접수 ▲백점맞는시리즈 ▲한양사이버대학교 ▲동아전과 ▲푸르넷에듀 ▲아발론교육 ▲제3교실 ▲브레인스쿨 ▲MK EDUCATION ▲Exam4Me ▲재능스스로학습시스템2.0 ▲일등예감 ▲서울디지털대학교 ▲유피학습 ▲스쿨테스트 ▲한자마루 ▲에듀모아 ▲iae유학네트 ▲빈코에듀 ▲위버지니어스 ▲자이스토리 ▲올림피아드학원 ▲SBS아카데미 컴퓨터 아트 학원 등이 각 부문별로 올해 가장 두각을 나타내며 브랜드가치 1위로 선정됐다.

이렇게 뽑았다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은 교육브랜드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교육산업의 전반적 발전을 촉진시킬 목적으로 브랜드 가치 평가 전문회사인 브랜드스톡이 제정한 교육브랜드 가치 평가 인증제도로서 교육산업 세부 부문별 브랜드가치 1위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제7회 대한민국 교육브랜드대상은 브랜드스톡과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가 공동개발한 KEBI(Korea Educational Brand Index) 모델에 의해 선정됐다.

 KEBI는 브랜드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측정하는 브랜드가치 평가 모델이며 각 교육산업 부문별 최고 점수를 획득한 브랜드가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에 선정된다.

 이번 설문조사는 만14세 이상의 브랜드스톡 회원과 리서치 전문 패널을 대상으로 지난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각 경쟁부문 약500여개의 브랜드였으며 각 브랜드에 대한 인지·호감·신뢰·만족도 등을 묻는 방법으로 지수를 산출했다.

박찬영 객원기자 freebir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