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장 이문제] 남해고속도로 김해 통과 구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한국도로공사가 남해고속도로 김해시내 통과 구간 인터체인지마다 요금소를 설치하려 하자 김해지역 46개 시민단체들이 반대하고 나섰다.

김해YMCA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달 말 IC 요금소 설치 반대를 위한 대책협의회를 구성, 요금소 설치 거부운동에 들어갔다.

그러나 도로공사는 모든 고속도로의 폐쇄식(거리 요금제)운영방침에 따라 남해고속도로 인터체인지마다 요금소를 설치키로 해 양측의 마찰이 우려된다.

도공측은 지난 1월 광주~진주 지수간 요금소를 설치한 데 이어 김해지역에도 내년 8월까지 요금소를 만들기로 했다.

김해지역에 신설되는 요금소는 진영.진례.장유.서김해.동김해 등 5곳이다.

현재 김해시내 구간만 이용하면 별도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되지만 이 요금소가 설치되면 요금을 내야 한다.

이 때문에 김해지역 시민단체들은 한 도시 내에 5곳의 요금소가 세워지면 시민 부담이 커진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또 같은 생활권이라는 이유로 무료로 운영 중인 다른 고속도로와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대구지역의 경우 구마고속도로 화원요금소를 지난 이현.성서.서대구 인터체인지에는 요금소가 없다.

수도권의 경우 한남대교~경부선 서울 요금소 사이 신사.잠원.반포.서초.양재.판교 인터체인지 등도 요금소가 없다.

열악한 대체도로도 문제다. 김해에는 14번 국도.1017번 지방도로 등만 지나고 있고 그나마 이 도로들은 경사와 굴곡이 심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속도로 IC마다 요금소가 설치되면 국도.지방도로 교통체증은 불 보듯 하고 자연 교통사고 위험도 높을 수밖에 없다는 것.

대책위 김태광(金泰光)사무국장은 "김해시.도공.시민단체가 공청회 등을 통해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공 경남지역본부 김도환(金道煥)영업과장은 "고속도로는 먼 거리를 운행하는 차량을 위한 유료도로이기 때문에 특정지역만 무료로 운영할 수 없다" 고 맞서고 있다.

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