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 앞두고 학계도 바빠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11일 남북분단이후 처음으로 남북정상회담이 발표됨에 따라 통일과 남북관계를 연구해온 학회와 단체를 중심으로 학술세미나를 준비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북한 관련 학술회의가 남북한 관계 전망, 북한의 대남정책 등을 주제로 이뤄진 감안하면 남북정상회담은 이전 논의들을 한꺼번에 포괄하고 남을 메가톤급 사건이다. 따라서 학계는 정부 주도의 남북정상회담의 추이를 살피고 학계 차원에서 제안할 수 있는 의제들을 뽑아 반영하겠다는 것.

가장 먼저 구체적인 학술회의 기획안을 내놓은 곳은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다. 이달말이나 내달초 '통일전략포럼' 을 통해 첫 논의의 장을 연다.

서울 삼청동 연구소 국제회의실에서 열릴 이번 포럼은 '남북 정상회담과 남북한 관계 전망' 을 주제로 한반도 국제관계와 군사 안보.남북 경제협력 문제 등을 포괄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주제 발표자는 북한학 원로와 소장학자들을 골고루 안배할 방침이다. 특히 1995년부터 매년 3~4차례 열고 있는 통일전략포럼은 대개 두 개의 논문을 중심으로 토론을 벌였으나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 4개의 주제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학술단체협의회와 고려대 북한학 연구소도 6월 이전 학술토론회를 열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박호성(서강대 교수)학술단체협의회 상임공동대표는 "남북정상회담이란 사안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회담이 이뤄지기 전 학술토론회가 열려야 할 것" 이라며 "이번주 열릴 예정인 학단협 운영위원회에서 시기와 주제가 논의될 것" 이라고 말했다.

또 고려대 북한학연구소 김동규 소장은 "북한과의 교류는 상호주의의 원칙에 입각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우리 정부는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 지에 대한 토론회를 생각하고 있다" 며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이 적합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는 개천절 평양에서 북측 사회과학원과 '단군학술대회' 를 열 예정인 단군학회(회장 김정배)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학술대회가 더 심도있게 진행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분위기다.

단군학회 총무이사 정영훈(정신문화연구원)교수는 "지난해 11월 학술대회에 관한 원칙적인 합의가 이뤄졌다'고 곧 실무접촉이 있을 것'" '이라'며 "남북정상회담으로 인해 한결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접촉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는 만큼 교류의 폭과 내용 등에 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고 말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