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선운동 본뜻 되살리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총선 투표일을 사흘 앞두고 선거판이 뜨거워지면서 총선시민연대의 낙선운동이 곳곳에서 수모를 당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낙선대상 후보의 지지자들이 폭력을 행사하는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유권자들이 낙선운동의 본뜻에 대해 보다 이해심 있는 시각을 갖고 대처하기를 거듭 강조하고자 한다.

이번 선거에서는 병역.납세.전과기록 등 유례없이 많은 후보 검증자료들이 나오고 있다.

낙선운동도 그러한 후보 검증자료의 하나다.

총선연대는 진보적 시민단체로서 부패와 반민주행위 등을 중요한 낙선운동의 기준으로 삼았다.

유권자들이 그 기준을 받아들이느냐 여부는 유권자의 선택일 뿐이다.

따라서 낙선 대상자들도 총선연대의 기준 설정이 온당치 않으면 그에 대해 반박하는 설명자료를 내놓아 유권자들로 하여금 선택토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운동원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고 행패를 부리는 것은 그 후보가 낙선운동감이라는 것을 스스로 방증하는 행위가 아니겠는가.

이를 제지하는 선관위나 경찰의 태도에도 문제가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선관위가 기민하게 경찰력 지원까지 받아가면서 낙선운동을 원천봉쇄하는 데 비해 다른 지역에서는 총선연대와 후보 사이에 승강이가 벌어진 후에 나타나거나 또는 방치하는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

야당 후보가 낙선대상인 지역에서 이런 현상들이 주로 나타나고 있어 낙선운동이 교묘하게 이용당하고 있지 않느냐는 의심까지 주고 있다.

우리는 총선연대가 합당한 방법으로 낙선운동을 펼 경우 선관위나 정부도 당선운동과 같은 수준까지는 허용해줘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따라서 총선연대가 때리면 맞겠다는 비폭력원칙 위에서 지금 현재 벌이고 있는 수준의 낙선운동은 합당하고 적절한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도 각종 불법.탈법적인 선거운동을 방치하면서 유독 총선연대의 낙선운동에 대해서만 강력하게 대처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종반에 들어선 선거판이 극심한 돈뿌리기와 향응제공으로 인해 혼탁해지고 있고 흑색선전과 비방 등 지나친 네거티브식 선거운동으로 정치에 대한 혐오감만 잔뜩 키우는 부정적인 양상이 부각되고 있다.

낙선운동의 본뜻이 '정치 부정' 이 아닌 '정치 개선' 에 있으며, 시민의 힘에 의한 구정치의 종식이 그 최종 목표라는 사실을 유권자들은 되새겨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