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연수·교육' 재가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기업들이 외환위기 이후 중단했던 직원들에 대한 해외연수와 교육을 다시 시작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많아 기업들이 교육에 투자할 여력이 생긴데다 연수.교육이 벤처 열기 속에서 직원들이 회사를 떠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물산은 올초 1998년이후 중단한 지역전문가 과정을 '글로벌 비지니스 프로그램' 이라는 이름으로 바꿔 대리.과장급 직원 6명을 미국 실리콘밸리 등으로 파견했다.

올해안에 14명을 미국.중국 등으로 보낼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또 지난달 미국 카네기 멜론대학과 해마다 1년 짜리 전자상거래 석사과정에 2명, 4주짜리 훈련과정에 40명을 보내기로 제휴했으며 1차로 단기과정생 10명을 보냈다.

이 회사는 올해 직원 교육를 위해 50억원을 배정했다.

현대중공업은 올해 과.차장급 1백명 국내와 미국에서 3개월씩 교육시킬 프로그램을 짜고 그 비용으로 1인당 1천7백만원씩을 배정했다.

현대전자도 3년이상 근무한 직원 10여명을 뽑아 국내 및 해외에서 석.박사 과정을 공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SK상사는 올해 미국 대학 MBA 과정에 6명을 보내는 한편 사원부터 부장급까지 직급별로 50~1백시간을 공부해 학점을 따도록 하는 '지식학교' 를 운영한다.

연수.교육을 재개하기 위해 준비중인 기업도 있다.

LG상사는 법률 전문가 과정 연수를, 한화.효성 그룹은 교육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SK상사 관계자는 "직원들에게 회사의 비전을 보여주기 위해 사내 인재양성 의지가 중요하다" 며 "교육을 통해 자기계발 기회를 줌으로써 이직을 막을 수 있다" 고 말했다.

특히 최근 재개하는 연수방식은 과거 회사별로 뽑은 대상자를 그룹에서 주도해 일괄적으로 교육하던 것과 달리 회사.부서별로 특성에 맞게 프로그램을 짜 운영하고 있다.

삼성인력개발원 신태균 부장은 "그전에는 그룹사 직원을 한 자리에 모아놓고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식이었다" 면서 "이제는 개별 회사가 교육 프로그램을 주문하면 거기에 맞춰서 진행한다" 고 말했다.

양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