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 학교운영에 큰부담…컴퓨터 등 정보화기기 원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광주시내에 있는 무등초등학교는 전기료 납부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달 전기료는 86만3천원. 1백20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방학기간중 전기료가 50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컴퓨터 사용으로 연간 3백여만원의 전기료를 추가로 내는 셈이다.

컴퓨터.TV.멀티비전 등 정보화 기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전국의 초.중.고교에 전기요금 비상이 걸렸다. 전기료가 적게는 학교운영비의 9%, 많게는 25%나 돼 학교운영에 큰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전기료 부담이 정보화 교육을 위축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에 각 지역 교육청들은 교육용 전기료를 산업용 수준으로까지 인하해줄 것을 교육부.산자부 등에 요청하고 있다. 현재 학교에 적용되는 전기료는 가정용의 90% 수준. 산업용 전기료는 가정용의 66.8%밖에 되지 않는다.

대전지역 2백30여 초.중.고교가 지난 한해 지출한 전기요금은 35억원. 전체 학교 운영비(3백50억원)의 10%가 전기료로 나갔다. 실습 기자재가 많은 대전 D공고는 연간 학교운영비의 25%인 5천만원을 전기료로 지출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국가발전의 원동력인 교육용 전기료를 산업용보다 비싸게 받는 것은 모순" 이라고 말한다. 이에 대해 한전측은 "교육용 전기료를 할인해 주는 나라는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며 "이를 낮추면 다른 분야 전기료를 올려야 한다" 고 말했다.

구두훈.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