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NIE] 수몰 위기 몰디브 대통령의 호소 “손자들도 여기서 키우고 싶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몰디브의 이브라힘 디디 농수산부 장관(오른쪽)이 10월 17일 기리푸시섬 앞바다에서 열린 수중 각료 회의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촉구하는 결의안에 서명하고 있다. [몰디브 AP=연합뉴스]


“우리는 죽고 싶지 않다. 손자들도 몰디브에서 키우고 싶다.”

지상낙원으로 불리는 몰디브의 대통령 모하메드 나시드가 지난달 17일 각료 13명과 함께 ‘수중 각료 회의’를 마치고 뭍으로 올라오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스쿠버 다이빙 복을 입고 바닷속 6m에 마련된 책상에 둘러앉아 온실가스 배출 규제 촉구 결의안에 서명했다. 지구온난화로 수몰 위기에 처한 몰디브의 절박한 상황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마련한 이벤트였다. 국가의 존립마저 위협하고 있는 지구온난화의 현주소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각 키우기

①지구온난화의 원인과 실태는

산업혁명 이후 지구 평균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2100년에는 지구 평균 온도가 최고 6.4도까지 상승할 전망이다. 경제 성장을 위해 화석연료를 과도하게 사용해 온실가스 배출이 늘어난 탓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피해는 이상 기후에 그치지 않고 막대한 인명과 경제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미국 오클라호마에서는 토네이도로 5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고 호주 빅토리아 주에선 산불이 일어나 서울 면적의 5배에 달하는 3300㎢의 삼림과 180명이 넘는 사상자를 냈다. 중국 중북부 지역은 가뭄으로 429만 명이 식수난을 겪고 207만 마리의 가축이 폐사했다. 브라질 북부에선 홍수로 44명이 죽고 37만60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기후 변화로 인한 손실이 훨씬 더 심각하다”고 경고한 대로 세계 곳곳에서 유·무형의 피해가 끊이지 않은 것이다.

②온실가스 줄이기 위한 노력은

그동안 온실가스 감축 노력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돼 왔다. 일찍부터 산업화를 시작해 장기간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해온 만큼 환경 문제에 선진국의 책임감 있는 태도를 촉구한 것이다. 1997년 교토의정서를 통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38개 선진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평균 5.2% 줄일 것을 의무화한 것도 이때문이다.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중국·인도 등 경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신흥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하는 만큼 이들도 의무 감축 대열에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은 세계가 협조해 공동 대응할 문제임에 분명하지만 단기적으로 자국의 경제적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만큼 실리를 따지지 않을 수 없다. 문제는 선진국과 개도국이 각자의 국익만 내세우다 지구온난화에 적절한 대응 시기를 놓친다면 모두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③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은

교토의정서 체결 당시 우리나라는 개도국의 위치를 인정받아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지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세계에서 9번째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어서 교토의정서를 대신할 새로운 합의안에서는 의무 감축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는 17일 2020년까지 2005년보다 4% 감축하겠다는 자발적인 감축 목표를 공표해 국제 사회의 관심을 끌었다. 이는 유럽연합이 개도국에게 권한 감축 목표로는 최대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감축 목표 달성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국민의 고통과 부담이 수반되는 만큼 충분한 설명을 통해 국민의 동의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박형수 기자

※‘생각 키우기’ 문제와 답은 www.jnie.co.kr에 게재돼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