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해외 칼럼

저탄소 혁명은 기업에 위기 아닌 기회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다음 달 코펜하겐에서 유엔기후변화회의가 열린다. 참가국들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합의안을 도출할 계획이었다. 환경을 해치지 않고 경제 발전을 이루는 이른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다.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을 반대하는 기업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 기업들은 정부 정책에 따라 사업환경이 변하는 걸 싫어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기업은 변화를 먹고 자란다. 현재의 거대 기업들은 과거 새로운 수요가 생기는 걸, 뭔가 새로운 걸 가능하게 만든 변화를 포착했던 몇몇 사람이 일군 것이다. 내연기관·마이크로 칩과 같은 신기술은 기업들에 많은 기회를 가져다 주었다. 소비자 수요에 따른 것도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은 철도 건설이나 무선통신의 개발에서 보듯 정부 정책이었다. 농업 및 산업혁명, 그리고 정보기술혁명 등 커다란 경제환경의 변화엔 이 세 가지 요소가 다 작용했다. 하지만 정부가 재빨리 정책을 세워 신산업을 지원한 것이 핵심적 역할을 했다.

저이산화탄소 산업은 바로 차세대 산업 혁명이다. 이미 관련 산업이 전 세계에 등장하고 있다. 조명에서 교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아직은 개발이 더디다. 저이산화탄소 산업이 활성화되려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지도자들이 앞장서지 않으면 안 된다. 이들이 꾸물댄다면 지구 기후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재앙이 될 것이다. 반대로 각국 정부가 지원에 나선다면 저이산화탄소 산업에 대한 투자는 늘어나고 기업 간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지구온난화가 해결될 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지며 투자 기회도 생긴다.

그러자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다. 이는 근본적으로 우리가 투자하는 방식을 바꾸고 세계 경제의 방향을 바꿀 것이다. 그 결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만일 미국 정부가 에너지 효율화 정책을 편다면 1조 달러 이상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함으로써 저이산화탄소 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기에 충분한 자극을 줄 것이다.

코펜하겐 회의에서 합의가 이뤄진다면 기업들에 세 가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첫째, 각국별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규모가 합의되면 기술 투자와 에너지 효율화가 달성될 전망이다.

둘째, 정확한 이산화탄소 배출 거래가격이 정해지면 기업들은 저이산화탄소 사업에 확신을 갖고 대규모로 투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민간분야 재원을 혼합해 산업 환경이 열악한 개발도상국들에 지원하기로 한다면 이 국가들은 저이산화탄소 경제로 전환할 계기를 맞게 된다.

유엔기후변화회의에서 이 같은 합의안이 도출된다면 저이산화탄소 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코펜하겐 합의를 통해 각국 정상들은 자신들이 저이산화탄소 사업을 적극 지원할 것이란 강력한 메시지를 기업에 보내야 한다.

라스 요셉슨 바텐팔 CEO
정리=이승호 기자 ⓒ Project Syndic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