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법 표결 앞둔 정치권 이모저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선거법을 비롯한 정치개혁법 개정안 표결처리를 앞두고 1일 여야는 긴박하게 돌아갔다. 3당 총무는 잇따라 연쇄접촉을 갖고 막판 절충을 벌였으나 원점을 맴돌았다.

와중에 총선시민연대 대표들이 국회를 방문, 전향적인 선거법 개정을 주장하고 나서 더욱 어수선했다. 선거구 획정에 불만을 품은 의원들의 반발도 사그라들지 않고 계속됐다.

◇ 총무회담〓민주당 박상천(朴相千)총무는 오전과 오후 자민련 이긍규(李肯珪)총무.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총무와 개별 접촉을 갖고 의견조율에 나섰다.

전날 자민련과의 공동개정안 제출에 실패한 朴총무는 오전에 만난 이긍규 총무에게 표결처리에 따른 협조를 당부했지만 합의점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朴총무와 한나라당 李총무와의 회담은 오후 3시20분부터 시작. 朴총무는 회담시작 직전 서영훈(徐英勳)대표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고 수분간 밀담을 나눴다.

李총무는 "부결이든 가결이든 이런 교착상태를 방치하는 것은 옳지 않다" 며 "서로간에 덜 기피하는 안을 만드는 지혜가 필요하다" 고 피력. 그는 또 표결처리 결과에 대해 "결국 자민련이 캐스팅 보트를 쥐지 않겠느냐" 고 전망.

◇ 시민단체 항의방문〓총선시민연대의 최열(崔冽)상임공동대표.박원순(朴元淳)집행위원장 등은 오후 2시 국회를 방문, 朴총무와 한나라당 李총무에게 시민단체의 선거운동 활동범위를 넓혀 줄 것을 요구, 설전을 벌였다.

朴집행위원장은 "시민단체의 선거운동 참여를 허용했다고 하지만 인터넷 활용과 기자회견 외엔 실제로 아무런 활동을 할 수 없게 돼 있다" 며 "집회와 서명운동을 허용해달라" 고 요구.

이에 대해 李총무는 "선거를 두달 앞둔 상황에서 집회 등을 허용하면 유혈사태 발생 등 전체 선거판이 혼란에 빠질 우려가 있다" 며 "16대 총선 이후 심도있는 토론과 검증과정을 거치자" 며 거부했다.

이에 崔대표 등은 "그렇다면 우리는 전부 감옥가는 수밖에 없다. 위헌소송도 내겠다" 고 맞섰고 朴총무는 "시민단체의 활동을 우려하는 것이 아니라 규제에서 풀린 다른 모든 단체들의 활동이 문제" 라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 여야 3당 움직임〓민주당 朴총무는 이날 표결처리 결과에 대해 "내가 총무하면서 추진했던 일중에서 실패한 적이 있느냐" 며 자신감을 표시. 그는 또 "어제는 의원들의 감정이 격앙돼 있는 상태라 표결했으면 부결됐을 것" 이라며 "그래서 오늘로 표결을 연기한 것" 이라고 부연설명. 회기연장 가능성에 대해서도 "나부터도 내일 아침 고향행 비행기표를 사놨다" 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설명.

한편 전날 의원총회에서 지역구 획정문제로 동료의원에게 주먹까지 날렸던 김태랑(金太郞)의원측 반발은 이날도 계속됐다.

창녕지구당에서 1백여명의 청년.부녀당원들이 올라와 항의소동을 벌인 것. 이들은 金의원을 둘러싼 채 "의원님한테 힘이 될까 올라왔다" 며 "국회 앞에서 농성을 벌이겠다" 고 반발했고 金의원은 "내가 알아서 할테니 모두들 내려가라" 고 만류.

사태가 험악해지자 김옥두(金玉斗)사무총장은 金의원을 불러 "어떤 경우에도 불상사가 있어선 안된다" 며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민주당의 선거법 개정안에 대한 수정안을 제출한 한나라당은 소속의원 전원에게 총동원령을 내렸다.

투병 중인 최형우(崔炯佑).권익현(權翊鉉)의원을 제외한 모든 의원이 참석했다.

◇ 무소속.군소정당 의원들〓선거법 협상에서 완전 배제된 무소속 의원들과 군소정당 후보들은 불안감 속에 협상추이를 예의주시. 선거구 획정위 안에 따라 한나라당 박관용(朴寬用)의원과 맞붙게 된 강경식(姜慶植.부산동래을)의원은 "지난해 말 여야의원 전원에게 인구편차 3대 1이상의 선거구 획정은 위헌이라는 입장을 팩스로 전달했다" 며 "획정위 안에 반대하며 가결될 경우 헌법소원을 내겠다" 고 주장.

다만 무소속 강현욱(姜賢旭.군산을)의원은 "군산이 통합된 것이 불만이긴 하지만 예상했던 일" 이라며 "정치권이 국민의 지탄을 받는 상황에서 하루 빨리 선거법이 처리돼야 한다" 고 말했다.

최상연.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