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압박’ 강해지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정부의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 분위기에 굴뚝 산업 위주의 울산지역이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

지금까지 울산시가 추진해 온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12년까지 2005년 수준으로 줄인다는 것이었는데 정부는 17일 국무회의에서 이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감축목표를 설정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울산시는 지난해 4월 환경부와 ‘기후변화 대응 시범도시 조성 협력 협약’을 체결하면서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4.5% 줄여 2005년 수준으로 맞추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기업체의 석유·석탄 연료를 LNG로 바꾸고 생산공정을 개선해 연간 50만t, 산업쓰레기와 메탄가스를 재활용하는 등 산업체 청정개발체제(CDM)사업으로 연간 250만t씩의 온실가스 계획을 추진해 왔다. 연간 2000t이상의 석유에너지 다소비 업체 145개사도 자발적으로 연간 총 200만t의 온실가스 감축키로 울산시와 합의했다.

그러나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가 5일 제시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2020년까지 2005년 수준으로 동결하거나 그보다 4% 더 줄이는 안 등 2가지다. 울산시와 산업계에서는 이 가운데 4% 감축안이 국무회의에서 채택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감축목표 설정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피력했기 때문이다.

녹색성장위원회는 아파트 등 건물과 교통부문에서 전체 감축 목표의 68%를 달성하고 나머지는 산업체에 할당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산업체의 경우 자동차·철강·조선 분야에서 녹색 근로자 전환 훈련체제를 구축하고, 자발적인 협약에 강제이행 수단을 강화한 ‘에너지 목표관리체제’를 도입한다는 것이다.

울산으로선 온실가스 배출량의 90% 이상을 산업체가 차지하고 있어 산업체에 대한 감축 압박이 다른 지역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부의 산업체 온실가스 감축 할당량 이행방안도 울산시의 산업구조와 기존 감축 방안(시-기업체 자율협약)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한 기업체 임원은 “연료비 부담으로 기업경쟁력이 떨어지고 있어 청정연료(LNG) 위주의 연료정책을 석유·석탄 위주로 되돌려 달라고 울산시에 매달리고 있는 형편” 이라고 말했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