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거법 협상 남은 쟁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여야간 선거법 협상이 막바지 고비에 접어들었다.

국민회의 박상천(朴相千)총무는 5일 3당3역 회의 뒤 "한나라당 하순봉(河舜鳳)총장이 '내일 회담에선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것' 이라고 말하더라" 며 향후 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총무는 얘기가 달랐다.

그는 "여당이 정당명부식 비례대표 선출방법으로 1인2투표제(정당.후보에게 각각 투표하는 방식)를 주장하는 것은 '임명직 의원' 을 늘리자는 것" 이라고 주장했다.

협상의 막판 쟁점이 1인2투표제 도입 여부로 압축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여야는 지금까지 의원정수를 현행 2백99명으로 유지하고, 지역구 의원을 소선거구제로 뽑는다는 큰 틀에 합의해 놓고 있다.

그러나 비례대표 선출단위(현행 전국단위)와 투표방법(현행 1인1투표) 등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날 李총무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받아들이는 대신 여당측이 1인2투표제를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朴총무는 "1인2투표제가 안되면 각 당이 표를 더 많이 얻기 위해 모든 지역구에 후보를 내는 후보 난립현상을 낳게 된다" 고 반대했다.

지역구를 나누는 인구 상.하한선(현행 7만5천~30만명)도 쟁점으로 남아있다.

인구 하한선을 8만5천명으로 상향조정하는 데는 합의했으나 선거구 분구의 기준이 되는 상한선을 놓고 여당은 34만명, 야당은 32만명을 주장하고 있다.

여당안에 따르면 영남에서 부산 금정.남구.동래.사상 등 9개, 호남.충청에서 전북 군산과 대전 동구 등 12개 선거구가 줄어든다.

한나라당은 이와 함께 "선거구 획정원칙을 정한 뒤 인구 상.하한선을 정하자" 고 주장했다.

현행 선거구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해 8만5천명 이하인 선거구는 통합하고, 32만명을 넘는 지역은 분구하자는 것이다.

이럴 경우 지역구는 3개밖에 줄어들지 않는다.

여야 관계자들은 "아직 몇몇 쟁점이 남아있으나 막후채널을 통해 조만간 타협점을 찾을 것" 이라고 말했다.

여당 관계자들은 "한나라당에 유리하게 정치자금법을 개정하고 정치자금법 위반 등으로 재판에 계류 중인 야당 의원들에 대한 '선처' 등을 패키지로 묶어 선거법 협상이 진행될 것" 이라고 전했다.

이양수.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