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꿉장난 수준의 실험 … 외신서 뻥튀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호기심 차원에서 해본 실험을 국제 사회가 문제 삼는 것은 어이가 없는 일이다."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소장은 3일 전화 인터뷰에서 0.2g의 농축 우라늄에 대한 파장이 커지자 "실상이 부풀려져도 한참 부풀려졌다"고 설명했다.

-연구 과제로 채택해 농축실험을 한 것인가.

"아니다. 원자력 발전소용 핵 연료를 제어하는 원소인 가돌리늄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연구팀이 해본 것에 불과하다. 가돌리늄은 핵 분열을 조절하는 물질이다. 이 때문에 어떤 연구 보고서도 없다. 실험 시설 역시 더 이상 불필요해 폐기처분한 상태다."

-지난 2월 국제원자력 추가 협정이 발효됐는데 왜 이제야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보고했나.

"협정 규정은 발효 이후 6개월 이내에 보고하면 된다. 지난 6개월 동안 보고 준비를 했다. 혹시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이전에는 왜 보고하지 않았나.

"원자력 추가 협정이 올해 초 발효되기 이전에는 핵물질만 보고하도록 돼 있었다. 이런 실험까지 보고할 의무가 전혀 없었다. 그러나 새로운 추가 협정은 아무리 사소한 실험도 보고하게 돼 있다. 사실 국제법을 철저히 지키기 위해 보고한 것이다."

-일본 정부가 가장 야단이다.

"2일 아침 일본의 한 신문기자가 연구소로 찾아왔다. 그래서 일본에는 핵연료재처리 시설까지 있는데 그게 핵폭탄 만들려고 가동하고 있는 것이냐고 오히려 물어보았다. 사실 핵연료 재처리 시설이 대규모 공장이라면, 이번 실험은 어린이들의 소꿉장난 수준이다."

-농축 실험을 정부가 사전에 알았나.

"아니다. 연구소에서도 소장인 나 정도 알고 있었을 뿐이다. 이번에 IAEA에 보고하면서 과학기술부도 알게 됐다."

-농축 실험에 사용한 레이저분리법은 새로운 기술인가.

"미국 등 선진국에서 오래전에 개발했다. 그러나 농축 효율이 아주 낮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일부에서 핵 폭탄을 만드는 과정 중의 하나로 오해하는 사람이 있는데 원자력 기술자들이 들으면 어이가 없어 웃을 것이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