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소선거구 협상진통…의원수·비례대표 맞교환 타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민회의 박상천(朴相千). 자민련 이긍규(李肯珪). 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총무는 8일에도 침울한 낯빛으로 회담장 문을 나섰다.

선거구제 협상이 속시원히 풀리지 않는 탓이다.

협상의 모양새는 겉과 속이 다르다.

3당간 물밑협상에선 소선거구제(1선거구 1인 선출)로 윤곽을 잡아놓고도 겉으로는 대치하고 있다.

이날도 두 여당 총무는 도시에선 중선거구제, 농촌에서는 소선거구제로 하는 복합선거구제를 들고 나왔다.

박상천.이긍규 총무는 "복합선거구제를 원하는 의원들이 많다" 고 운을 뗐으나 이부영 총무는 "위헌적 요소가 있고 게리맨더링의 우려가 있다" 며 일축했다.

회담 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중선거구제에 집착하는 자민련 박태준(朴泰俊) 총재를 의식한 제스처일 뿐" 이라고 실토했다.

선거구제 협상은 여전히 의원 숫자부터 주춤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현 숫자(2백99명) 유지를 주장한다.

2백70명이 당론인 국민회의도 물러서지 않고 있지만 내심 10명선 감축(2백89명)을 검토 중이어서 막판에는 조율이 이뤄질 것막?보인다.

암초는 지역구대 비례대표 의원의 비율이다.

회담에서 국민회의는 당론인 2(지역구)대 1(비례대표)을 여전히 고수했고, 한나라당은 5.5대 1 비율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이부영 총무는 "여권의 비례대표 의원 확대는 영남권을 잠식하려는 동진(東進)정책일 뿐" 이라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의원 정수와, 지역구 대 비례대표 비율간에 주고 받기식 일괄타결이 이뤄질 것으로 보는 의원들이 많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