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가 'OEM 인력' 양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중소기업의 구인난과 대학생의 취업난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주문식 인력양성사업'이 산.학.관 공동으로 펼쳐진다.

이는 기업의 입맛에 맞는 기술인력을 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아 대학에서 집중적으로 키운 뒤 해당 기업체에 취업시키는 방식이다. 자치단체가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국비 보조 없이 자체 예산을 지원하는 것은 처음이다.

최달곤 영진전문대학장과 정태일 대구.경북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조해녕 대구시장은 30일 오전 대구시청에서 이 같은 내용의 협약을 했다.

영진전문대는 이에 따라 9월부터 기계계열 2학년 350명 중 희망학생에 한해 50명을 뽑아 6개월 동안 집중교육한다. 50명은 기업체들의 수요와 탈락을 예상한 인원이다.

학생들은 기존의 정규수업 외에 하루 4~5시간씩 기업이 요구하는 내용의 기계설계 교육을 따로 받는다. 또 훈련기간 중 한 달에 50만원씩 훈련비를 받는다. 교육은 취업 대상 기업에서의 실습 등 실습 70%, 이론 30%로 이뤄진다.

교육을 받은 학생 중 성적이 우수한 20명은 대구지역 자동차.금속업종 등 15개 업체에 곧바로 취업한다. 선발과정에는 기업체의 인터뷰가 실시돼 적격 여부를 따진다. 우선 취업에서 탈락한 나머지 학생들도 최대한 취업을 보장받는다. 훈련비용 1억3000만원 중 1억원은 대구시가, 나머지는 협동조합과 영진전문대가 각각 부담한다. 대구시의 예산지원은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 등에 근거한 것이다.

선발된 학생 20명은 1년 이상 사전에 약정된 기업에서 근무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훈련비를 모두 반납해야 한다.

영진전문대 산학협력처 도한신 교수는 "이 사업은 인력 및 취업난 해소,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1석3조의 사업"이라고 말했다.

이 협약은 대구시가 협동조합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뤄졌다. 협동조합은 2월부터 대구시 간부 등이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업체를 방문하자 인력난 해소를 요구했다.

협동조합 장충길 상무는 "취업난에도 대학생들이 대기업을 선호해 지역 중소기업은 기술인력 부족에 시달린다"면서 "인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이 사업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구시는 지난 3월 135개 중소업체 등과 '산업인력지원 실무협의회'를 구성, 세 차례 실무협의 및 인사담당자 회의 등을 거쳐 공동으로 인력양성에 나서기로 했다.

대구시 기업지원과 김영재(58)과장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이 기술인력 양성을 요청할 경우 최대한 지원하겠다"면서 "앞으로 다른 직종으로 이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