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IPI서한 노출 국정원 추궁키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중앙일보가 IPI에 팩스로 보낸 편지를 여권이 입수한 경위에 대한 의혹이 정치쟁점으로 번지고 있다.

정부와 국민회의측이 입수한 경위를 밝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박지원(朴智元)문화관광부장관은 "IPI 한국 관계자를 통해 입수했다" 고 주장했지만 한국IPI측은 "중앙일보가 보낸 것(8쪽)중 일부(2쪽 분량)를 IPI측으로부터 전달받았지만 정부측에 준 적은 없다" 고 공식 해명했다.

한나라당 이사철(李思哲)대변인은 11일 이회창(李會昌)총재 주재의 주요당직자회의를 마친 뒤 논평을 통해 "준 사람은 없는데 받은 사람만 있다" 면서 "그렇다면 팩시밀리를 도.감청했다는 결론밖에 없다" 고 지적했다.

李대변인은 "언론탄압에 이어 이제는 도.감청까지 하느냐" 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이부영(李富榮)원내총무는 "국가정보원이 소속돼 있는 정보위 등 관련 상임위에서 이 문제를 집중 추궁하고 정치쟁점화할 것" 이라고 예고했다.

한나라당은 이번 팩스 도청 의혹을 검찰이 아닌 국정원에 두고 있다.

안기부1차장을 惻?정형근(鄭亨根)의원도 "국정원이 도청한 것으로 보인다" 고 했다.

鄭의원은 또 "중앙일보 사태가 난 뒤에는 중앙일보 전체 전화와 팩스에 대해 감청이 이뤄지고 있을 것" 으로 추측했다.

검찰이 수사를 위해 합법적인 감청을 했다면 수사과정에서 나와야 할 부분이다.

그런데 수사가 아니라 여권이 중앙일보에 대해 정치공세를 하는데 이용한 것으로 보아 검찰보다 국정원이 불법도청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한나라당은 국회 법사위에서도 대법원에 대한 국정감사 등을 통해 수사기관의 언론사 도.감청 문제를 추궁할 계획이다.

한나라당 소속 법사위원들은 이미 대법원에 언론사 관계자들에 대한 감청영장 발부 관련자료를 요구해놨다.

언론사에 대한 도.감청이 중앙일보뿐만이 아닐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 자료가 있어야 언론사에 대한 도.감청?합법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 또 얼마나 늘어났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법원은 자료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고 한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