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파가 대통령을 흙탕물로 끌고간다"與고위당직자 걱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청와대는 그동안의 침묵을 깨고 3일 정치권의 언론탄압논쟁에 직접 개입, 적극 방어에 나섰다. 국민회의도 서서히 반박수위를 높이고 있다.

◇ 청와대〓중앙일보에 대한 언론탄압 당사자로 드러난 박준영대변인은 3일 洪사장 구속이 "조세정의 차원에서 이뤄졌다" 고 주장하는 것으로 대응을 시작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적극 대응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1차로 보광에 대한 세무조사와 언론자유는 별개라는 점을 홍보할 계획이며 특히 "방송사를 중심으로 각 언론사에 이와 관련한 협조를 구할 방침인 것으로 안다" 고 익명을 부탁한 고위 관계자가 전했다.

◇ 국민회의〓이만섭(李萬燮)총재권한대행은 이날도 "洪사장 문제는 기업탈세 문제이며 언론사와는 무관한 일" 이라고 강조했다.

박홍엽(朴洪燁)부대변인은 "한나라당이 단순한 탈세사건을 언론탄압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세풍(稅風)사건을 주도한데 이어 또다시 탈세비호 정당임을 만천하에 공표하는 것" 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감기간에 문화관광.재경.법사 등 상임위별로 언론탄압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데 대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그러나 익명을 부탁한 고위 당직자는 박준영 대변인의 3일 브리핑 내용에 대해 "언론탄압 논란에 드디어 김대중 대통령도 휩쓸려 가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고 걱정하면서 "강경파가 자기들이 살려고 金대통령을 흙탕물 속으로 끌고 들어가고 있다" 고 비판했다.

서울 출신인 한 초선의원은 "朴대변인이 검찰까지 끌고 들어가 金대통령이 주장해온 검찰의 중립성에 결정적 흠집을 내는 치명적인 실언을 했다" 고 꼬집었다.

유화파라고 자신을 소개한 한 중진의원은 "청와대가 어떤 논리의 포장을 해도 언론탄압 논쟁이 수그러들지 않는다" 면서 "더구나 중앙일보에서 탄압당사자로 보도한 인사(朴대변인)가 해명에 나선 것은 설득력을 잃은 행태" 라고 지적했다.

이연홍.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