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서기관 허명환씨 공직사회 비판서 출간 화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행정자치부 공무원이 공직사회 내부의 병폐를 통렬하게 비판하는 내용으로 쓴 책이 관가에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책은 행자부 교부세과 許명환 (41.행시 26회) 서기관이 쓴 '관료가 바뀌어야 나라가 바로선다' 는 제목의 책으로 자신의 공직경험을 바탕으로 공직사회의 치부와 병폐를 드러내 꼬집고 있다.

許씨는 서두에서 학연.지연을 끈으로 하는 연줄인사, 연공서열 인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한국에서 공무원으로 출세하려면 세도가 집안 출신이거나, 혼사를 잘 맺거나, 그것도 아니면 유수한 대학의 법대.상대를 나와 고시에 붙든지, 아니면 고향을 잘 타고 나야 한다' '인사철마다 그동안 들어놓은 (?) ▶고향보험 ▶동창보험 ▶동기보험 등 각종 보험을 동원해 게걸음을 잘하면 보직관리가 되고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

許씨는 지역안배 인사를 지적하면서 '출신지를 따지는 이유 중에는 동향 출신이라야 업무추진상 비밀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고까지 있다' 며 '모두가 글로벌 스탠더드에 역행하는 비개혁적 행태' 라고 비판했다.

許씨는 생산성.효율성과는 거리가 먼 60, 70년대식 '뻗치기 근무' 도 도마에 올렸다.

'뭘 하는지 감 (感) 조차 못잡은 채 저녁 먹고 또 사무실로 들어와서는 밤 12시가 돼서야 퇴근하고, 이튿날 아침 새벽같이 출근하고, 토요일 일요일 구분도 없이 나오고, 휴가도 반납하는…' 식의 분위기로 경쟁력 향상을 외치는 것은 한낱 구두선 (口頭禪)에 지나지 않는다고 許씨는 꼬집었다.

이규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