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지는 파이낸스 파문… 여야 책임공방 가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부산 삼부파이낸스사에 대한 검찰 수사와 청구파이낸스사의 영업중단 사태가 여야간 쟁점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16일 대규모 진상조사단을 부산에 내려보내 정부측 책임을 집중 성토하고 소위 '양재혁 리스트' 에 연루된 여권 인사들을 밝히라며 대여 공세를 부쩍 강화했다.

여당도 이번 사태가 PK (부산.경남) 지역의 '총선 민심' 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날 금융감독원 부산지원.부산시청 등을 찾은 한나라당 진상조사단 (단장 金道彦의원) 은 "부산의 파이낸스사 급증은 정부의 금융기관 구조조정이 한 지역에 편중된 때문" (金武星의원) , "정부의 방치가 초래한 예견된 사고" (鄭文和의원) 라며 현 정권의 'PK 홀대' 공세에 초점을 맞췄다.

야당은 이와 함께 양재혁 (梁在爀) 삼부파이낸스 회장의 2백40억원대 비자금 사용처와 관련된 부산 출신 여권 인사의 개입 의혹도 강도 높게 추궁했다.

야당 내부에서 거론하고 있는 여권 인사는 부산 출신 모장관, 두명의 K의원, N의원 등. 김용수 (金龍洙) 한나라당 부대변인은 "파이낸스 파동으로 부산에서만 4조원의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며 "정치권의 비호 의혹에 대한 검찰의 철저한 수사" 를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야당은 현장조사 결과에 따라서는 국정조사 요구까지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회의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모양이 됐다.

삼성자동차에 이은 파이낸스 사태가 PK 민심 이반 (離反) 을 가속화할 '총선 악재' 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 국민회의는 16일 파이낸스사의 수신 (受信) 업무를 전면 금지하고 불법 금융사례에 대한 대대적 단속을 실시하기로 하는 등 '파장 진화' 에 당력을 쏟아붓는 분위기다.

노무현 (盧武鉉) 부총재와 김운환 (金운桓) 부산지부장을 현지에 급파, 피해 실태조사에 착수해 곧 당 차원의 종합대책도 마련키로 했다.

야당에 의해 삼부파이낸스의 고문변호사로 거론됐던 한 의원은 "고문변호사가 아닌 것은 물론이고 지난 4월 의원후원회, 6월 도지부후원회에서조차 파이낸스사에서는 단 한푼도 받지 않았다" 며 펄쩍 뛰고 있다.

여타 '양재혁 리스트' 거론 인사들도 마찬가지. 국민회의측은 한나라당의 공세에 대해서도 "한나라당 부산 의원들의 연루 의혹을 피하기 위한 선제공격" 이라고 일축했다.

최훈.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