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연 YS…2與, 사태관망 실리계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영삼 (金泳三) 전 대통령의 기자회견에 화제가 이르자 국민회의 당직자.의원들은 대부분 "무대응이 상책" (南宮鎭) , "그것 참…" (張永達) , "할말은 많지만 참겠다" (金玉斗) 며 즉답을 자제하는 분위기였다.

대통령의 휴가로 한적해진 청와대는 물론이고 이날 'YS회견' 보고를 받은 김종필 (金鍾泌) 총리도 '소 닭보듯' 했다는 게 참모들의 전언이다.

국민회의.자민련은 그러나 YS의 퇴임 후 첫 기자회견이었던 만큼 대변인을 통해 여권의 '원론적 입장' 을 밝히며 일침을 놓았다.

국민회의 이영일 (李榮一) 대변인은 "金전대통령은 정치일선에서보다는 국가원로로 국정에 협조하라" 며 "김영삼씨가 정치적 언동을 계속할 경우 지역갈등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고 지적했다.

자민련 이양희 (李良熙) 대변인도 "정치재개를 위한 명분쌓기의 일환" 으로 단정한 뒤 "과연 그럴 자격이 있는지 묻고 싶다" 고 가세. 두 대변인은 그러나 "쓰러지는 팽이가 더 때려달라고 애원하는 격" (이영일) , "재임 중 나라를 위기로 몰아넣고 퇴임 후에 바로세우겠다니 황당할 따름" 이라고 평가절하하며 더 이상의 대응은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여권 내에서는 그러나 표면적인 '무관심' 속에서 YS 정치재개가 미칠 손익계산을 내심 저울질해보는 모습이 역력하다.

국민회의의 한 관계자는 "PK (부산.경남) 지역에서의 1대1 대결보다 3자대결 구도에서 빈틈이 생기게 마련" 이라며 YS등장이 굳이 손해될 게 없다는 분석이었다.

정동채 (鄭東采) 기조위원장은 "사실상 YS가 신당의 수순을 밟고 있는 것" 이라며 "YS의 파괴력과 PK민심, 이회창 총재의 대응을 관망하며 대응수순을 결정케 될 것" 이라고 했다.

자민련내에서는 박태준 (朴泰俊) 총재 중심의 비충청권과 충청권 사이에 묘한 차이가 엿보였다.

朴총재는 YS의 한나라당 잠식 가능성에 대해 "그렇게 쉽지 않을 것" 이라며 YS등장 자체에 극도의 거부감을 보였다.

그러나 신당합류 거부쪽의 충청권 의원들은 "상황이 유동적일수록 우리로선 선택의 기회가 많지 않겠냐" 며 싫지만은 않은 표정이어서 대비를 이뤘다.

결국 DJP의 대응강도는 YS의 다음 행보와 이에 대한 국민여론에 따라 달라질 것 같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