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제 개헌 연내 않기로-DJT회동서 합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김종필 (金鍾泌) 총리.박태준 (朴泰俊) 자민련 총재 등 여권 수뇌부 3인은 21일 청와대에서 조찬회동을 가진 뒤 연내에는 내각제 개헌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공식 선언했다.

金총리는 이날 3인회동을 마친 뒤 기자회견을 통해 ▶연내 내각제 개헌 논의를 유보하고 ▶국민회의.자민련은 합당하지 않으며 ▶정치현안은 양당간 8인위원회에서 논의하고 ▶양당간 공조를 강화키로 하는 등 4개항의 합의사항을 발표했다.

金총리는 20일 밤 한때 거론됐던 자신의 총리직 사퇴 문제에 대해 "당 간부들과도 충분히 얘기했고 오늘 대통령을 뵙고 여러 말씀을 드렸기 때문에 이 자리에 앉아서 최선의 봉사를 하기로 했다" 며 사퇴 의사를 철회했다.

내각제 문제와 관련해 金총리는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여러가지 어려운 문제에 봉착해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해 개헌 문제의 연내 논의는 하지 않기로 했다" 고 밝혔다.

특히 국민회의와 자민련간 합당을 포함한 신당 창당 등 정계개편 문제와 관련, 金총리는 "지난 17일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대통령의 여러 시국 구상을 들었으나 이에 대해 합의한 일은 없다" 며 "합당이란 것은 얘기도 안되고 구체적으로 논의되지도 않았다" 고 강조했다.

반면 金총리는 "내년 총선에 자민련 의원들이 자민련 간판으로 출마하느냐" 는 질문에 "내년 총선 얘기는 좀 빠르지 않느냐" 며 " (신당 창당 등의 문제는) 한두사람이 정할 수 없고 전당대회를 열어 당 의사를 결정하기 전엔 안되는 얘기" 라고 분명한 답변을 유보해 정계개편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이에 따라 지난 17일 대통령과 총리의 극비회동을 계기로 여권에서 추진돼온 '2여+α' 신당 창당 논의는 일단 잠복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내년 총선 전 정계개편에 대한 여권 핵심부의 의지가 매우 강한 데다 金총리의 분명한 답변 유보 등을 종합할 때 이 문제는 언제든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국민회의는 여권 수뇌부 3자회동에서 당분간 신당 창당을 추진하기 않기로 함에 따라 야당과 무소속 의원 및 각계의 개혁세력 등을 영입하는 독자적 전국정당화 작업을 추진한다는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22일 국회에서 의원.지구당위원장 등이 모두 참석하는 'DJP 대국민 사기규탄대회' 를 열고, 지구당별 규탄대회도 갖기로 해 정계개편을 둘러싼 여야간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

이회창 총재는 "정략적 정계개편을 주도하고 참여하는 정파와 정치인은 국민의 심판으로 도태될 것" 이라고 강력하게 비난했다.

▷연내 개헌은 어렵다고 판단해 개헌문제 연내 논의 않기로

▷국민회의.자민련 합당 않기로

▷정치현안은 양당 8인위원회에 맡겨 협의, 결정

▷국정에 대해 공동책임을 지고 굳건한 공조 견지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