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21% "해외투자 축소·철수"-전경련 설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국내 기업의 해외 투자활동이 올해 더욱 위축될 것으로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경련이 해외에 현지법인을 가지고 있는 국내 대기업 51개를 대상으로 '해외 현지법인의 구조조정 현황 및 경영계획' 을 설문조사한 결과 10개중 2군데 이상 (21.4%) 이 투자 계획을 축소하거나 아예 현지법인 철수를 고려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해외 현지법인 총수는 지난 97년 2백48개에서 지난해말 2백32개로 준데 이어 5월말 현재 2백26개로 감소했다. 투자 확대를 계획중인 곳은 10개중 1군데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지법인의 자립도도 극히 취약해 절반 이상 (55.9%) 이 '국내 모기업의 출자.송금에 의존한다' 고 응답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해에 비해 올 해외법인들의 매출이 전반적으로 늘어날 전망인데도 불구하고 해외 투자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면서 "이는 주로 해외투자를 위한 자금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고 설명했다.

전경련 박재성 과장은 "자칫 해외 기반이 취약해 질 것으로 우려된다" 며 "일본은 금융위기에도 불구, 최근까지 해외투자를 통해 설비 투자 수요를 증가시킴으로써 국내 수요를 부양시키는 등 적극적인 대응책을 강구하고 있으므로 우리 기업도 설비투자와 자본재 수요처로서 해외현지법인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지법인들의 64.3% 정도가 현재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며 이중 69.8% 가 구조조정 성과에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어 현지법인의 경영은 다소 호전될 전망이다.

현지법인의 올 경영실적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여 예상 영업이익률은 동남아가 11.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북미.EU지역은 마이너스를 면치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전경련은 해외법인 활성화를 위해 ▶현지법인 관련 외환거래의 추가적 자유화 ▶현지법인에 대한 본사 지급 보증 한도액 확대 ▶해외투자에 대한 국내은행 투자승인 절차 간소화 등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