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2K 시한폭탄' 재점검 시급하다] 외국의 경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세계 각국도 문제 해결에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범세계적인 민간금융기관간 Y2K평가.협의기구체인 G2K는 6주에 한 번씩 회의를 갖고 각국의 대응 상태를 점검한다.

지난 6월16일 회의 결과 미국과 일본.영국 등 선진국은 준비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다. 한국도 그런대로 괜찮은 편에 속했다.

G2K는 각국의 준비상황을 극비에 붙이고 있다. 단지 전반적으로 잘되고 있지만 교통시스템과 에너지.전기, 그리고 댐.공업용수 공급분야 등에서 다소 문제가 있다면서 보완에 박차를 가하도록 권고했다.

국별 상황을 보면 미국의 경우 컴퓨터 점검 등 사전대책보다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는 비상대책 마련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대통령 산하기관인 Y2K변환위원회가 중심이 돼 기업과 정부기관 등이 긴급센터운영.복구요원훈련등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한편 컴퓨터조사기관인 가트너그룹에 의하면 미국 5백대 기업과 연방.주정부기관중 Y2K 비상대책센터를 운영하는 곳은 4월 현재 85%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 결과 대기업의 경우 22%가 연말까지 대책을 완료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돼 바짝 긴장하고 있다.

대응이 더디다는 비판을 받아온 일본은 정부특별대책반을 구성하고 지난 5월 금융.에너지.통신등 주요산업의 대응체계를 9월까지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일본 기업의 대비 태세는 지난해만 해도 미국에 비해 9개월이나 뒤졌으나 지금은 3개월 정도로 격차를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은 전반적으로 수준 급이나 주요 공항과 관제센터쪽이 아직 미흡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대만등의 대응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폴 연기금위원회는 Y2K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5월말까지 7백만달러를 투입, 기업과 정부공공기관의 Y2K문제를 풀고 있다.

싱가포르정부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 12월31일 자정직전, 연금전산망을 중단시키고 자료를 복사해 보관하는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한편 북한은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사실상 참여하지 않는 상태.

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