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대행 인선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국민회의 새 지도부 인선은 김대중 대통령의 내각제 해법과 정치개혁 등 굵직한 현안에 대한 구상의 한자락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당장의 현안은 8월 전당대회다.

예정대로 전당대회가 치러질 경우 '한시적 관리대행체제' 가 유력하다는 게 여권 핵심부의 중론이다.

가급적 정치적 색채가 옅은 중립적 성향의 인물 중 개혁성.자민련과의 관계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장을병 (張乙炳) 부총재, 이만섭 (李萬燮).김원기 (金元基) 상임고문 등이 거론되고 있다.

성균관대 초대 직선 총장.민주당 대표 등을 지낸 張부총재의 경우 뚜렷한 정치색이 없고, 참신한 이미지.개혁성이 있다는 것. 李상임고문은 TK (대구.경북) 출신이란 점과 원만한 대인관계가 강점이나 김종필 총리와의 불편한 관계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金상임고문은 개혁적 이미지와 함께 2기 노사정위원장을 원만히 끝낸 점이 후한 점수를 받고 있다.

그러나 전당대회가 연기될 경우 사정은 복잡해진다.

눈앞에 닥쳐온 특검제 협상을 비롯, 정치개혁 협상.자민련과의 내각제 담판.16대 총선체제 가동 등의 정치일정이 차질을 빚게 된다.

이 경우 15대 대선 때 DJP 단일화 합의를 끌어냈던 한광옥 (韓光玉) 부총재가 강력히 부상하고 있다.

자민련측에서 특히 선호하고 있으며 동교동계의 지원도 받고 있다.

다만 3.30 재선 50억원 사용설에 연루, 야당측이 기피인사로 낙점한 것이 부담이다.

국정원장 출신의 이종찬 (李鍾贊) 부총재와 조세형 (趙世衡) 전 총재권한대행도 거론된다.

또 전국정당 이미지 실현과 동서화합을 위해 이수성 (李壽成) 평통 수석부의장의 전격 기용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한다.

사무총장. 원내총무. 정책위의장의 당3역은 대행과 보완을 이루는 '패키지 인선' 을 한다는 게 기본 방침. 개혁마인드와 실무능력을 우선기준으로 실세가 전면 배치될 것이란 전망이다.

사무총장에는 한화갑 총재특보단장이 유력하다.

원내 사령탑인 총무에는 박상천 (朴相千). 조순형 (趙舜衡) 의원과 정균환 (鄭均桓) 전 사무총장, 김원길 (金元吉) 전 정책위의장이 거명된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