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 돋보기] "일조·조망권은 거주자 이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서울중앙지법 민사14부는 22일 "이웃 부지에 고층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서 일조권과 조망권을 침해하는 바람에 원룸 건물을 짓지 못해 손해를 봤다"면서 박모씨가 D건설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일조.조망.사생활 보호 등은 거주자의 주거생활 이익이지 부동산 소유자의 이익이 아니다"면서 "부동산 소유자가 앞으로 지을 건물의 일조권 등 침해를 미리 예상해 손해배상을 구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박씨는 자신이 소유한 서울 서초동 토지에 원룸을 지으려다 이웃 부지에 지상 37층짜리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서자 업무용 빌딩을 지은 뒤 소송을 냈다.

법원은 '햇볕을 쬘 수 있는 권리'인 일조권의 경우 거주자의 피해가 입증될 경우 상대편 건물 측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다. 이 때는 오전 9시~오후 3시 사이 연속 2시간 동안 햇볕이 들지 않거나, 오전 8시~오후 4시 사이 합쳐 4시간 이하로 햇볕이 들 경우 일조권 침해라고 보는 '2~4시간 원칙'이 적용된다.

그러나 '전망을 즐길 수 있는 권리'인 조망권의 경우 그 자체를 구체적인 권리로 인정할 지는 논란이 있다. 서울남부지법은 지난 4월 "경관 조망은 사적인 권리 대상이 아니다"며 조망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다만 일조권 침해에 따르는 부수적인 권리로서의 조망권은 인정되는 추세다.

김현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