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업들, 한국 ‘그린기술’에 반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10일(현지시간) 패트릭 퀸 미국 일리노이 주지사는 오후 일정을 줄였다. 이날 시카고 네이비 피어에서 개막한 ‘2009 한국우수상품전’을 보기 위해서였다. 당초 그는 기념 만찬에만 참석하기로 했다가 갑자기 일정을 바꿔 행사장으로 향했다. 퀸 주지사가 만사를 제쳐놓고 달려간 건 한국에서 온 전기자동차 때문이었다.

일리노이주는 최근 전기자동차 개발·생산에 1000만 달러 예산을 배정했다. 이 프로젝트를 따낸 게 바로 한국 전기자동차 회사 CT&T다. 이 회사가 한국상품전에 전기차를 출품하자 차를 직접 보기 위해 행사장으로 향했던 것이다. 퀸 주지사는 “한국 중소기업의 기술력에 놀랐다”며 “CT&T와 합작하게 된 데 만족한다”고 말했다.

KOTRA가 시카고에서 9~12일 열고 있는 ‘KOREA EXPO 2009’가 미국 정부·기업으로부터 예상 밖의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미국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을 겨냥해 풍력·태양열·전기차와 같은 그린 기술업체를 주축으로 내세운 게 적중했다. KOTRA 황민하 부사장은 “애초 2억 달러 정도의 상담 실적을 기대했으나 10일 하루에만 이를 훌쩍 뛰어넘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린뉴딜을 내건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자금을 따내기 위해 고심 중인 미국 기업에 뛰어난 기술을 가진 한국 중견·중소기업이 입맛에 딱 맞는 합작 파트너로 부상했다”고 설명했다.

10일(현지시간) 시카고 미시간호 주변의 네이비 피어 컨벤션센터에서 KOTRA 주최로 1985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한국 박람회인 ‘2009 한국우수상품전’에서 관람객들이 단거리용 전기차 생산업체인 한국 CT&T의 전기차를 살펴보고 있다. CT&T는 2014년까지 40만 대의 전기차를 미국 시장에서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카고=연합뉴스]


◆한국 그린기술에 쏠린 관심=발광다이오드(LED) 개발업체 그로우의 이철수 대표는 이날 진땀을 뺐다. 당초 2건 정도로 예상한 상담 신청이 5건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5곳 모두 당장 계약을 하자고 나왔다. 11일에는 규모가 더 큰 업체 예약도 밀렸다. 그는 “국내 LED 기술이 미국보다 뒤질 게 없다는데 우리도 놀랐다”고 말했다. 건물 유리창에 붙여 태양열발전을 할 수 있는 필름을 개발한 주성엔지니어링의 기술에도 문의가 많았다. 유엔 본부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 중인 스캔스카 관계자는 “열효율이 높은 빌딩 건축에 이 회사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국내 풍력발전 1위 업체인 유니슨 홍정표 과장은 “국내에선 기어가 없는 750㎾ 발전기가 이미 상용화됐으나 미국에선 앞선 기술”이라며 “합작사업을 제안한 바이어가 많았다”고 말했다.

◆미국 그린시장 보인다=KOTRA가 미국에서 한국상품전을 연 것은 88올림픽을 앞둔 1985년이 마지막이다. 그나마 당시엔 국가 홍보 차원이었을 뿐 수출 상담을 기대한 건 아니었다. 한국 상품으로 미국 시장을 뚫기엔 역부족이라는 판단에서다. 이 때문에 그동안 상품전은 주로 개발도상국에 초점을 맞춰 왔다. 그러나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상황이 확 달라졌다. 미국 정부가 그린 뉴딜을 내걸면서다. 그동안 그린기술 개발에 소극적이었던 미국 기업으로선 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자금을 따내기 위해 기술이 필요했다. 그러나 유럽·일본 기업은 경쟁 상대여서 껄끄러웠다. 그린기술을 확보한 한국 중견·중소기업이 합작 파트너로 떠오른 이유다. 이런 흐름을 읽어낸 KOTRA의 기획도 시장 흐름과 맞아떨어졌다.

미국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맥린-포그의 마거릿 맥린 부사장은 “한국 기업의 그린기술은 이미 세계적 수준”이라며 “미국 시장 진출도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정경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